3월 29일
가상자산 뉴스
도이치방크 “인스타그램 NFT 도입, NFT 대중화 이끌 것”
독일 도이치방크는 최근 보고서에서 “인스타그램이 NFT 구매/판매 과정을 단순화해 진입장벽을 낮출 경우 NFT 대중화가 이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얼마전 마크 저커버그 메타 대표는 가까운 시일 내에 NFT를 인스타그램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언급했었다. 도이체방크는 인스타그램이 NFT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할 경우 연간 순수익이 최대 8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이베이, 트위터, 스냅 등 다른 인터넷 회사들도 NFT 기능을 도입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CME 그룹, 마이크로 비트코인 선물 상품 출시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이 마이크로 비트코인 선물 및 이더리움 선물 기반 옵션 상품을 출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 상품들은 계약 당 0.1 토큰 단위로 거래되며,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에게 보다 광범위한 암호화폐 파생상품을 제공한다는 계획으로 해당 상품을 통해 트레이더는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등 주간 옵션 만료일을 선택, 단기 혹은 장기 투자를 결정할 수 있다.
피터 브랜트”비트코인,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 출현”
미국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BTC/USD 일봉 차트 기준 강세 편향의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이 출현했다. 현재 비트코인(BTC) 가격은 해당 삼각수렴의 상단을 돌파했으며, 이는 추가적인 30%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브랜트는 “지난 2019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을 때 BTC는 단기적으로 20% 상승했고, 이어지는 펌핑에 50%에 가까운 시세 상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차트로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다. 심지어 차트는 어떠한 확률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차트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거래 프로그램 내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패턴이 반드시 완성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실패하거나 변형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더리움 병합’ 구글 검색량 역대 최대
이더리움 병합(Ethereum Merge) 구글 검색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특히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에서 검색량이 두드러졌다. 이더리움 병합은 이더리움 메인넷이 비콘체인이라는 PoS(지분증명) 시스템과 합쳐지는 걸 의미한다.
미 하원의원, 디지털 달러 이캐시 법안 발의.. 원장 없이 익명성 보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하원의원 그룹은 재무부에 디지털 화폐 이캐시를 발행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개인정보와 익명성을 보호하는 게 골자로, 휴대폰이나 카드에 디지털 달러를 보관할 수 있다. 휴대폰이나 카드를 분실하면 돈도 잃게 된다. 원장(ledger) 자체가 없기 때문에 거래내역은 완전한 익명성을 띤다.
분석 “미 장단기 금리차 축소.. 비트코인도 타격 받을 수도”
코인데스크는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가 좁혀지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고개를 듦에 따라 비트코인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10년물, 2년물 금리차는 보도 시점 기준 12bp 차이가 나고 있다. 매체는 “암호화폐와 경기 간 상관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2020년 3월 코로나 폭락장 이후 암호화폐는 매크로(거시) 자산으로 진화했다. 특히 경기 사이클에 민감한 위험자산(기술주가 대표적) 움직임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암호화폐 급여 솔루션 코너스톤, 페이드랍 인수
파이낸스매그네이츠에 따르면 암호화폐 활용 급여 솔루션 코너스톤 글로벌 매니지먼트(Cornerstone Global Management)는 소기업 대상 금융서비스 제공업체 페이드랍(Paydrop) 인수를 발표했다. 현금, 주식 스왑 거래로 진행되며, 페이드랍 고위 경영진은 코너스톤에 합류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SK 코인’, 카카오 클레이튼 기반으로 발행…박정호 승부수
이데일리 단독 보도에 따르면, SK가 3분기 발행 예정인 ‘SK코인(가칭)’이 2분기까지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 개발과 백서 발행을 마치고 3분기 암호화폐를 발행할 예정인 가운데, 메인넷으로 카카오 클레이튼을 선택해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메인넷이 중요한 이유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카카오 클레이튼에는 현재 게임회사 위메이드, 디파이(DeFi)서비스 클레이스왑 등이 속해 있다. 박정호 SK스퀘어 대표이사(부회장)은 이날 SK스퀘어(402340) 제1기 주주총회에서 “가상 세계에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해 메타버스(이프랜드)를 하는 SK텔레콤,SK플래닛의 로열티 프로그램과 연결하는 사업을 준비 중이다. 실물과 가상 세계를 연동해 기존에 없던 블록체인으로 연결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SK코인’은 SK플래닛이 담당한다.
호주증권거래소, 블록체인 시스템 도입 내년 말로 재차 연기
호주증궈거래소(ASX)가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도입이 내년 말까지 연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고 포캐스트가 전했다. 4번째 연기 소식이다. 앞서 ASX는 2017년 기존 주식 청산·결제 플랫폼인 CHESS를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으로 2021년 4월까지 교체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이를 두 차례 연기했으며, 올 2월에 다시 4월 도입을 논의했으나 이 역시 뒤로 미뤘다. ASX는 “이번 연기 결정은 프로젝트 구축을 담당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디지털 애셋을 대신해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인, 암호화폐 대한 관심 급감…전년 5월 대비 79%↓
비인크립토가 구글트렌드 데이터를 인용, 3월 암호화폐에 대한 미국인들의 관심이 21로, 작년 5월 대비 79% 감소했다고 전했다. 구글 트렌드는 특정 단어의 검색량을 0에서 100으로 수치화한 것이다. 한편, 매체는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거래량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2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거래량은 각각 6710억달러, 4160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0%, 58% 감소했다.
전 마운트곡스 CEO, 3분기 암호화폐 프로젝트 평가기관 출범
전 마운트곡스 CEO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es)가 암호화폐 프로젝트 평가기관 언곡스(UNGOX)를 3분기 출범할 예정이라고 포캐스트와 인터뷰에서 밝혔다. 언곡스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팀원 정보, 운영 경험, 알고리즘 등에 기반해 점수를 매기고 위험 수준을 평가하게 된다. 새 회사 출시를 기념해 기존 마운트곡스 회원들에게 서비스를 평생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마운트곡스 NFT’를 제공할 계획이다. 마운트곡스 회원은 mtgoxnft.net에 방문해 본인의 계정 소유권을 확인하고 NFT 발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출하면 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마운트곡스 회원 수는 107만명 규모다. 카펠레스는 “이번 NFT 발행은 현재 진행 중인 배상 절차과 관련이 없다”고 전했다.
라울 팔 “약 40만 달러에 BAYC #7894 구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대표적인 비트코인 강세론자이자 골드만삭스 출신의 유명 매크로 투자자 라울 팔(Raoul Pal) 리얼비전 그룹(Real Vision Group) CEO가 최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140 ETH(약 40만 달러 규모) 가격에 유명 NFT 프로젝트 BAYC #7894 모델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에 이끌려 구매를 결정했다. 개인적으로 원숭이가 쓰고 있는 월계관과 그 상징성을 좋아하기도 한다. NFT 구매와 함께 에이프코인(APE)도 매수했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APE는 현재 13.41% 오른 15.3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베이스 “유럽 소액 암호화폐 결제 규제안, 혁신 저해·데이터보호 원칙 위배”
이번주 예정된 유럽 의회의 소액 암호화폐 결제 규제안 표결과 관련, 코인베이스 최고볍률책임자 폴 그레월(Paul Grewal)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레월은 “해당 규제안이 채택되면 코인베이스 등 거래소에 대한 감시 체제가 활성화되고 자체 호스팅 월렛이 손상되는 등 혁신이 저해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해당 규정은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트래블룰 적용 대상으로 취급하는데, 이는 암호화폐가 현금에 비해 부당한 처우를 받는 것을 의미하며 전통 금융 업체에게만 이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최악의 조항은 거래소가 자체 호스팅 지갑을 사용하는 비고객에 대한 정보를 수집, 보고해야 한다는 새 규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수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뿐더러 EU 데이터 보호 원칙에 위배된다는 설명이다. 그레월은 “더 늦기 전에 해당 제안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유럽 의회가 스머핑(현금분할거래), 탈세 방지 목적으로 소액 암호화폐 결제 규제안 승인에 대한 표결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한국시간 기준).
-3/28: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 연설(20시), 미국 3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준)제조업 지수(23시30분)
-3/29: 일본 2월 실업률(8시30분), 일본 중앙은행(BOJ) 의견 요약(8시50분), 미국 1월 주택가격지수(22시)
-3/30: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연설(18시), 미국 4분기 경제성장률(GDP) 예비치(21시30분), 미국 EIA 원유재고량(23시30분)
-3/31: 영국 4분기 경제성장률(GDP) 예비치(15시), 미국 2월 개인소비지출(PCE) 및 개인소득(21시30분),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22시), 미국 3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22시45분)
-4/1: 프랑스 3월 제조업 PMI(16시50분), 유로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18시), 미국 3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자수및 실업률(21시30분), 미국 3월 마킷 제조업PMI(22시45분)
3월 NFT 주간 평균 거래량, 전월 대비 반토막
야후파이낸스가 체이널리시스 데이터를 인용, 3월 13일(현지시간) 기준 NFT 주간 평균 거래량이 9.3억달러를 기록, 연초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고 전했다. 1월과 2월 대비 각각 49%, 54% 감소했다. NFT 판매자 수도 7219명으로, 1월 말(2만1296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댑레이더 수석 애널리스트 Pedro Herrara는 “긴축 통화정책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NFT 시장에도 위험 회피 심리가 확산됐다”며 “투자자는 BTC, ETH, 스테이블코인 등 더 안전하고 유동적인 디지털자산으로 옮겨갔다”고 분석했다. 다만, 아즈키, BAYC, WoW 등 일부 NFT는 최근 수요가 회복되는 추세다. 이들 프로젝트 NFT는 최소 4만달러 이상 판매되고 있다.
美 유명 기업가 디아만디스 “비트코인, 두 번째로 좋은 투자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미국 유명 기업가이자 세계 최대 비영리 벤처 재단 엑스프라이즈 재단 회장 피터 디아만디스(Peter Diamandis)가 최근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투자는 본인 스스로에게 투자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 좋은 투자처는 비트코인”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5.08% 오른 46,791.6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BTC 준비통화로 사용될 것’ BTC 초기 개발자 예언 적중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비트코인은 향후 준비통화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말한 비트코인 초기 개발자 할 핀니(Hal Finney)의 예언이 적중하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코인데스크는 “지난 2010년 할 핀니는 비트코인톡 포럼에서 ‘비트코인은 자체 디지털 캐시를 발행하는 은행을 위한 준비통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최근 테라(루나, LUNA) 재단의 BTC 매입 계획은 이 같은 핀니의 예언이 맞아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지난 14일 도권 테라폼램스 창업자는 스테이블코인 UST 준비금으로 약 100억 달러 규모의 BTC를 매입할 계획을 시사했다. 테라가 은행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들은 자체 디지털 캐시를 발행하고 있으며, 이는 곧 BTC를 통해 가치가 뒷받침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디어는 “암호화폐 업계가 테라 생태계 발전 지원 비영리 재단 루나파운데이션가드(LFG)의 BTC 주소로 추정하고 있는 주소는 최근 일평균 1.25억 달러 상당의 BTC를 매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같은 추정과 가설이 사실이라면, 이러한 일일 매수는 몇 달간 지속될 수도 있다. 또 UST의 사례가 성공한다면, 완전히 공개되고 비트코인으로 뒷받침되는 최초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 탄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회의 요약
이더리움(ETH)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Tim Beiko)가 최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얼마전 개최된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회의의 주요 내용을 요약했다:
– 최근 지연됐던 이더리움 난이도 폭탄, 6월부터 네트워크서 체감될 것. 난이도 폭탄 적용 시점 1~2개월 연기는 가능하지만, 적용 전 지분증명(PoS) 전환이 이상적
– 이더리움 병합 테스트넷 킬른(Kiln)서 각종 테스트 진행 중. 다수 클라이언트에서 문제점 보고. 중대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킬른은 PoS 전환 전 마지막 테스트넷이 될 가능성이 높음.
– 상하이 업그레이드 통해 기존 컨트랙트 변동 없이 EVM 개선, 비콘체인 출금 기능 활성화, 레이어2 거래 수수료 인하 추진.
– 업그레이드 관련 이더리움 실행 레이어(EL) 및 컨센서스 레이어(EL) 간의 협의 필요. EL과 CL의 프로세스 통합 논의.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3월 31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31 |
---|---|
[신문] 2022년 3월 30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30 |
[신문] 2022년 3월 28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8 |
[신문] 2022년 3월 27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7 |
[신문] 2022년 3월 26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