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5일
가상자산 뉴스
타임지 NFT 발행
미국 타임지가 NFT를 발행하고 오픈씨에서 판매를 시작했다고 타임지가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타임지 측은 “해당 호에는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와 비트코인 코어 개발자 앤드류 차우(Andrew Chow) 관련 기사가 담겼는데, NFT 보유자들이 전체 내용을 읽을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 “NFT 3분의 1은 거의 거래 없어”
블록체인 분석 업체 난센(Nansen)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NFT 중 3분의 1은 거래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죽은 컬렉션’으로 끝난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NFT 민팅(신규 발행) 건 수는 약 500 건에서 최근 120만 건으로 증가해 약 2,000배 증가했다. 또 발행된 NFT 중 3분의 1은 최초 민팅 가격보다 현재의 최저가가 더 높은 상태다. 이에 따라 NFT 거래자보다 ‘민팅’을 통해 돈을 벌려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 난민, 자산 큰 부분 비트코인으로 바꾼뒤 폴란드로 피신
우크라이나 난민이 자산의 큰 부분을 비트코인(BTC)로 바꾼뒤 폴란드로 피신했다고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페이디(Fadey)라는 가명을 사용한 우크라이나 난민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피난 당시 ATM 사용자 대기줄이 너무 길어서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었다. 나는 평생 저축한 금액 중 40% 상당을 비트코인으로 환전해서 USB 드라이브에 저장했고, 종이에 시드 문구를 적어 우크라이나를 탈출했다”고 전했다.
CME 비트코인 선물 프리미엄, 연초 이후 최고 수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스큐(Skew)를 인용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분기물 비트코인 선물 프리미엄(현물과의 가격차)이 4.8%를 기록, 지난 1월 4일 이후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고 24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관 아케인리서치는 “CME 분기물 BTC 선물에 프리미엄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관 투자자가 강세를 전망하고 비트코인 ETF 발 지속적인 자금 유입이 원인일 수 있다”며 “이는 만기가 더 긴 비트코인 선물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크레디트스위스 이사 “BTC, 법정화폐 및 은행 시스템에 위협 안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핀볼드에 따르면, 스위스 대형은행 크레디트스위스(Credit Suisse) 이사이자 핀테크 전문가인 블라이스 마스터(Blythe Masters)가 “비트코인은 법정화폐 및 은행 시스템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나는 아직도 비트코인이 궁극적으로 법정화폐를 밀어내고 은행의 비즈니스 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라며 “암호화폐가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에 대한 헷지 수단이 될 수 있는지는 아직 누구도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BOE “암호화폐 글로벌 규제 강화해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영란은행(BOE) 금융정책위원회가 지난 9일(현지시간) 및 18일(현지시간) 가진 회의에서 “암호화폐를 규제하는 글로벌 프레임워크를 강화해 암호화폐가 금융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BOE 금융정책위원회는 “영국 내는 물론이고 전세계적으로 강화된 암호화폐 규제 및 법 집행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영국 금융 시스템에 대한 암호화폐의 직접적인 위협은 제한적이지만, 암호화폐 산업이 지속 성장하고 보다 견고한 시스템을 갖춘다면 금융 안정성에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애니모카브랜드 창업자 “BAYC NFT 스테이킹, APE와 같이 스테이킹해야”
BAYC NFT 연계 토큰 에이프코인(APE) DAO가 거버넌스 관련 5가지 제안을 발표하며 스테이킹 풀 관련 정보를 공개한 가운데, 에이프코인 DAO 이사회 멤버로 참여하고 있는 얏 시우(Yat Siu) 애니모카브랜드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AIP-5(거버넌스 제안)은 각각 특정 물량의 APE를 보상하는 4개의 스테이킹 풀을 제안했다. 그중 3개는 BAYC, MAYC 및 BAKC NFT 보유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스테이커가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결국 APE 스테이킹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BAYC 생태계 NFT 보유자가 AIP-5 제안에서 언급된 스테이킹 풀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NFT를 APE와 페어링해야 한다. NFT 자체는 스테이킹되지 않으며, 스테이킹된 APE를 보관하는 ‘안전 금고’의 열쇠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BAYC NFT 보유자가 APE를 스테이킹하는 도중 NFT를 팔아버린다면 스테이킹 수익을 찾을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PE는 현재 14.37% 오른 13.8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서치 “독일인 44%, 암호화폐 투자 의향 있다”
코인텔레그래프가 쿠코인 보고서를 인용, 독일인 44%가 암호화폐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독일 암호화폐 투자자 중 37%는 1년 이상 투자했다고 답했다. 4%는 6년 이상 투자했다고 답했으며, 18%는 1년 이내 첫 투자를 시작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0%는 암호화폐를 신뢰할 수 있는 가치저장수단이라고 평가했고 29%는 암호화폐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태국 “은행의 디지털 자산 사업 투자, 자본의 3%로 제한해야”
블룸버그에 따르면 태국 중앙은행이 수요일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를 자본의 3%로 제한해야 한다고 밝혔다. 예측할 수 없는 리스크로부터 은행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지난해 태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인 시암커머셜뱅크(SCB)는 태국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쿱(Bitkub)을 5.37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는데, 아직 승인을 받지는 못한 상황이다. 전날 코인니스는 태국 중앙은행, SEC(증권거래위원회)가 4월부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정을 발표했다고 전한 바 있다.
‘리플과 소송’ SEC, 법원에 SEC-제3자 회의 메모 수정 권한 요청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과의 소송에서 DPP(심의 과정 특권, 정부 행정기관이 내부 프로세스 관련 내용을 민사 소송 등에서 비공개 요청할 수 있는 권한)에 의해 보호받는 SEC와 제3자 간 회의 내 일부 메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법원에 허가를 요청했다. SEC가 수정하려는 메모 중에는 2014년 SEC 디지털 자산 및 혁신부문 선임 자문관 발레리 슈체파닉이 노셉 그런드페스트 스탠퍼드대 교수 및 당시 SEC 위원 다니엘 갤러거 등과 진행한 비트코인의 법적 지위에 초점을 맞춘 회의에서 작성한 것을 포함한다.
블랙록 CEO “디지털화폐·스테이블코인 연구 중”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래리 핑크 CEO가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블랙록은 고객들의 수요 증가에 따라 디지털화폐와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과 관련, 그는 “각국 정부에게 화폐 의존도를 재평가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디지털화폐가 글로벌 결제 수단이 되는 과정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코인니스는 블랙록이 고객 대상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싱가포르 고등법원 “암호화폐, 재산 인정” 첫 판결
싱가포르 고등법원이 처음으로 암호화폐를 재산(property)으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고 크립토뉴스가 전했다. 70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 도난 사건에서 법원은 도난당한 암호화폐를 재산으로 간주하고, 이를 보관한 거래소 2곳에 범죄 추적을 위한 자료 제출을 명령했다. 법률 전문가들은 이러한 법원 명령이 고객 암호화폐 거래 정보에 대한 거래소의 기밀유지 의무를 무효화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호주 대형 은행, 호주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
로이터에 따르면 24일 호주 주요 은행 중 하나인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이 호주 달러 가치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다. 호주 달러 연동 디지털 자산이 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NZ는 “산하 암호화폐 투자 플랫폼 제로캡(Zerocap)을 통해 자산 관리 업체 빅터 스모곤 그룹에 A$DC 호주달러 스테이블코인 전송을 완료했다”며 “스마트컨트랙트 통해 3000만 A$DC를 발행해 당사자 간 전송이 이뤄진 뒤 나중에 이를 호주달러로 다시 변환했다”고 설명했다.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법화 지정 분석 법안, 미 상원 위원회 통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에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법정화폐 지정에 대한 분석 보고서 작성을 요구한 법안이 23일(현지시간) 위원회를 통과해 곧 상원 표결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미 상원 외교위원회 짐 리쉬(R-아이다호)가 밝혔다. 이 법안은 짐 리쉬와 밥 메넨데스(D-N.J) 위원장, 빌 캐시디(R-La) 등이 지난달 발의했다.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화 지정이 미국 경제에 미칠 잠재적인 위협을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다. 이와 관련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오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정부가 우리가 하는 일을 두려워할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EU, 블록체인 기반 주식·채권·펀드 거래 실험 허용 전망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유럽연합(EU) 내 블록체인 기반 주식, 채권의 발행, 거래 및 결제 실험이 허용될 전망이다. EU 집행위가 제안한 5년 기한의 파일럿 프로그램이 법안으로 통과될 경우 EU 회원들은 현행 금융 시장 인프라 법안에 구속받지 않고 자산 토큰화 등 크립토 애플리케이션을 실험할 수 있다. 요한 반 오베르벨트(Johan Van Overtveldt) 의원은 “기존 금융 법안을 디지털에 최적화하며, 금융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에 개방성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단 소규모 파일럿 단계를 넘어가면 예상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한된 테스트 환경을 확대하기 전에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크리스 맥마누스(Chris MacManus) 의원은 “파일럿 프로그램 반대는 혁신에 반대하는게 아니다”라면서 “투자자 보호와 금융 안정성에 대한 무책임과 업계 로비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美 법원, SEC-리플 디스커버리 기간 연장 신청 승인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법원이 리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디스커버리 기간 연장 신청을 승인했다. 최근 SEC는 ‘증거 자료 보완’을 위해 법원에 디스커버리 마감 기한을 연기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브래드 갈링하우스 및 크리스 라센 리플 공동 창업자는 SEC가 의도적으로 소송 절차를 늦추려 한다며 ‘디스커버리 기간 연장 신청’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답변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ETH 장기 보유자, 꾸준한 증가 추세 지속
유투데이가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멘트(Santiment) 데이터를 인용, ETH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코인 보유 시간을 의미하는 코인 평균 나이(coin age)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코인의 평균 나이를 통해 장기 보유자의 비중을 추정할 수 있다. 미디어는 “이더리움 가격이 사상 최고치에서 50% 가까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월렛들은 꾸준히 ETH를 모으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슬로우미스트 “CASH 해킹 피해, 5,200만 달러 규모”
블록체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가 23일 공식 채널을 통해 “솔라나(SOL)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카시오달러(CASH)가 취약점 공격에 노출돼 5,000만 달러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슬로우미스트는 “해커는 검증되지 않은 가계정으로 약 20억 CASH를 무단 발행했으며, 복수의 경로로 빼돌린 CASH를 UST, USDC, USDT-USDC LP 토큰으로 환전했다. 환전된 토큰의 가치는 약 5,200만 달러 상당”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카시오달러의 ‘무한 발행 결함’이 노출돼 CASH 토큰 가치가 0에 가깝게 떨어졌다고 보도한 바 있다.
외신 “메타, 8개 신규 상표 출원…암호화폐 사업 확장 가능성”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핀볼드가 미국 변리사 마이크 콘두디스(Mike Kondoudis)의 트위터를 통해 “메타(구 페이스북)이 최근 미국 특허청에 로고 등록을 위한 8개 상표를 출원했다. 상표의 용도에는 암호화폐, 토큰, 암호화폐 거래,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암호화폐 거래소 등이 포함됐다”고 23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핀볼드는 “메타의 이번 상표 출원은 향후 메타가 암호화폐, 가상 제품 및 서비스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임을 암시한다”고 진단했다.
MS “해커그룹 랩서스, 암호화폐 노린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가 “해커그룹 랩서스(LAPSUS$)은 암호화폐도 타깃으로 노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MS 측은 “랩서스는 통신기기를 통한 해킹 기술을 악용해 피해자의 개인 이메일 계정 등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 또 타깃의 계정을 통해 해커그룹 소속 개인 및 비즈니스 파트너에게 무단으로 비용을 지불한다. 그들은 암호화폐 거래소에도 접근해 개인 계정을 탈취, 피해자의 보유 자산을 빼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활동력을 높이고 있는 해커그룹 랩서스는 이번 주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소스코드와 옥타의 관리자 계정 크리덴셜을 훔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앞서 엔비디아, 삼성, LG, 유비소프트 등을 해킹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네트워크 보안 업체 맨디언트(Mandiant)의 수석 애널리스트 조슈아 실코(Joshua Shilko)는 “랩서스는 2021년 중반부터 활동을 시작했을 수 있다. 그들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데 관심이 있으며, 금전적인 보상에도 동기가 부여돼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前 BofA 임원 “미국 CBDC 출범, 비트코인 단속 신호탄”
더블록에 따르면, 2013년 비트코인이 송금 업체의 대체제가 될 것이라고 예언한 전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임원 데이비드 우(David Woo)가 최근 “CBDC가 출시되면 미국 정부는 비트코인을 미친듯이 단속할 것이다. 10년 뒤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의 미래는 어둡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미국이 비트코인을 단속하지 않는 것은 정치적인 이유가 크다. 정부는 일부 독과점 은행들, 결제 공룡의 편에 섰다는 비난을 피하려 하지만, 미국 CBDC가 출범하면 비난을 무릅쓰고 암호화폐를 단속할 것”이라며 “중국은 이미 CBDC를 출범했으며, 미국은 이 경주에서도 달러 패권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보여줄 것이다. 바이든은 CBDC 연구를 위한 행정명령을 발표했으며, CBDC가 나오면 비트코인에 대한 태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업비트, 메타마스크 개인 지갑 등록 지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메타마스크 개인 지갑 등록 기능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사용자는 23일부터 메타마스크 지갑 등록이 가능하며, 추가 인증 절차를 마친 사용자는 업비트-메타마스크 간 디지털 자산 입출금이 가능하다. 앞서 업비트는 트래블룰 이행에 따른 디지털 자산 입출금 방식 변경을 공지하며 메타마스크 지갑의 등록을 선제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파월 “디지털 화폐 관련 새 규정 마련해야…CBDC 결정은 아직”
외신에 따르면,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이 23일 국제결제은행(BIS) 혁신 서밋에서 “현행 규정은 디지털 화폐를 고려하지 않았다. 디지털 화폐 관련 새로운 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법규와 프레임워크를 마련해 디지털 화폐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날 “연준은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에 대한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은 상태”라며 “CBDC는 반드시 신원을 확인하되 프라이버시가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준은 CBDC의 장점과 비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만약 CBDC가 도입된다면, 일종의 광범위한 결제 방식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엘살바도르 재무장관 “9월 전 비트코인 채권 발행 예정”
알레한드로 젤라야(Alejandro Zelaya) 엘살바도르 재무장관이 최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BTC) 채권은 늦어도 9월 이전에 발행될 것이다. 5, 6월이면 글로벌 마켓의 동향이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9월 이후에는 글로벌 마켓에 비트코인 채권을 출시해도 자금조달이 어려울 것이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3월 27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7 |
---|---|
[신문] 2022년 3월 26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6 |
[신문] 2022년 3월 2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4 |
[신문] 2022년 3월 23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2) | 2022.03.23 |
[신문] 2022년 3월 22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