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2일
가상자산 뉴스
글로벌 대형 재보험사, 디지털 자산 관련 재보험 출시 예정
홍콩 보험사 원디그리(OneDegree)가 글로벌 대형 재보험사 뮌헨리(Munich Re)와 새로운 디지털 자산 재보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홍콩 보험사 원디그리 측은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총 시가총액이 2조 달러를 넘어섰으며, 다수의 기관투자자들과 기업이 디지털 자산을 대차대조표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을 위한 보험인 ‘재보험’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전했다.
중동 대형 대체자산 운용사, 블록체인 투자 예정
중동 대형 대체자산 운용사 인베스트콥 홀딩스(Investcorp Holdings)가 블록체인 스타트업 지분 인수를 위한 펀드 ‘이리디안 라이온(eLydian Lion)’을 조성한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인세스트콥 홀딩스의 리디안 라이언 펀드는 아랍에미리트 수도 아부다비에 기반을 두며 블록체인 인프라, 플랫폼 및 거래소, 디파이, 데이터 분석 업체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길버트 카미니엔스키(Gilbert Kamieniecky) 인베스트쿱 기술 사모펀드 사업 총괄은 “블록체인 기술과 이를 둘러싼 생태계는 2000년대 인터넷 기술처럼 경제 전반을 변화시킬 것이다”고 전했다.
미국 설문조사 결과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시 투자 가능성 높아질 것”
미국 나스닥이 최근 500 명의 미국 자산관리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약 72%의 응답자가 ‘비트코인 현물 기반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되면, 고객의 자금을 암호화폐에 투자할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설문조사에 참여한 자산관리사들은 현재 약 26조 달러 상당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미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는 자산관리사 중 86%는 향후 12개월 내 포트폴리오 내 암호화폐 투자 비중을 늘릴 것이라고 답변했다. 또한 응답자들은 고객들에게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6%를 암호화폐에 할당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리서치 “연말 BTC 해시레이트 320 EH/s 돌파 전망…강세장 안 끝났다”
글로벌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 산하 리서치 기관 비트멕스 리서치가 11일 자체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는 올 연말 320 EH/s(현재 약 220 EH/s)를 돌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비트멕스 리서치는 “ASIC 개발과 투자 가속화로 해시레이트는 빠른 속도로 상승할 수 있다. 비트코인 가격에 큰 변화가 없더라도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는 지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트코인 채굴 산업으로의 자본 유입만 보더라도 강세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왓더프로그, 3,100개 NFT 완판
NFT 기반 실물 패션 브랜드 왓더프로그가 11일 최종 민팅을 통해 3,100 개의 자체 NFT를 완판했다고 밝혔다. 동시에 후드 수령 기능을 활성화, NFT 보유자가 7가지 디자인의 한정판 후드티를 배송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게 왓더프로그 측의 설명이다. 왓더프로그 NFT 보유자는 NFT와 연동된 실물 후드티를 수령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 입장 자격, 파트너사 관련 혜택 등이 주어진다.
유비소프트, 암호화폐 벤처 펀드에 6,000만 달러 투자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글로벌 게임 개발사 유비소프트(Ubisoft)가 화이트 스타 캐피탈(White Star Capital)의 두 번째 암호화폐 벤처 펀드에 약 6,0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트 스타 캐피탈의 해당 펀드의 목표 조달액은 약 1.2억 달러로 알려졌으며, 현재까지 일부 패밀리 오피스 및 개인 투자자들이 유비소프트와 함꼐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이트 스타 캐피탈은 약 1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지난 2020년 첫 5,000만 달러 규모의 첫 암호화폐 벤처 펀드를 출범한 바 있다.
상위 10개 비거래소 ETH 고래 지갑 ETH 보유량, 거래소 지갑보다 3.93배 많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가 온체인 분석 업체 샌티멘트의 데이터를 인용 “상위 10개 비거래소 이더리움(ETH) 고래 주소의 ETH 보유량이 상위 10개 거래소 지갑보다 약 3.93배 많은 ETH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대 격차”라고 11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샌티멘트는 “상위 10개 거래소 지갑의 ETH 보유량은 지난 2018년 7월 처음으로 상위 10개 비거래소 지갑에 추월당했다. 이 같은 지표는 ETH 가격에 낙관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5.09% 내린 3,076.2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눕독, 카르다노 기반 ‘클레이 애니메이션’ NFT 출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유명 래퍼 스눕독이 카르다노(에이다, ADA) 기반 NFT를 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눕독은 NFT 프로젝트 클레이네이션과 협력, 클레이 애니메이션, 음악 콘텐츠 등이 포함된 카르다노 기반 NFT를 발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신 “인도 암호화폐 과세 후 거래량 감소세 뚜렷”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인도 정부가 4월 1일부터 암호화폐 거래에 30%의 자본이득세를 과세한 이후 인도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내 암호화폐 거래량이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기관 크레바코(Crebaco)는 “인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와지르엑스(WazirX) 내 암호화폐 거래량은 과세 전 대비 72% 감소했으며, 젭페이가 59%, 코인DCX가 52%, 비트Bns에서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크레바코 소속 연구원 싯하르트 소가니(Sidharth Sogani)는 “암호화폐 과세 이후 주요 거래소 내 암호화폐 거래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과세 이전의 거래량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과세 정책이 암호화폐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외신 “다수 인도 정부기관 트위터 해킹 노출…NFT 관련 트윗 게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 3일간 다수의 인도 정부기관 및 정치인의 트위터 계정이 해킹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된 인도 정부 계정에는 기존 트윗들이 삭제되고 프로필 사진이 BAYC로 변경되는 등 NFT 관련 콘텐츠가 피드에 게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킹에 노출된 인도 정부의 트위터 계정에는 인도 북부의 우타르 프라데시주 정부의 공식 계정, 요기 아디티야나르 장관 사무실의 공식 계정 등이 포함됐다.
이번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번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를 정리했다.
-ECB(유럽중앙은행) 자산매입중단, 금리결정 등 인플레이션 통제에 중점을 둔 회의 개최 예정
-크립토 공포탐욕지수 ‘공포’ 단계 지속.. 두려운 심리가 시장 지배
-비트코인 채굴난이도 하향 조정 전망
아크인베스트, 페이팔 주식 모두 처분…”캐시앱 미래 더 밝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가 이끄는 미국 자산 운용사 아크인베스트가 최근 페이팔의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 이는 비트코인 거래 주요 허브인 결제 어플리케이션 캐시앱(Cash App)의 장기적인 성장을 더 높게 평가한다는 의미라고 코인텔레그래프는 해석했다. 캐시 우드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캐시 앱이 페이팔보다 포괄적인 디지털 자산 통합 지갑으로 생각된다”며 “페이팔도 산하 모바일 결제 서비스 벤모를 통해 암호화폐를 지원하지만, 캐시 앱 따라하기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암호화폐 시장을 지금까지 이끈 것은 소매 투자자들”이라고 덧붙였다.
전 소프트뱅크 CEO “비트코인 포트폴리오 비중 10%”
전 소프트뱅크 CEO 마르셀로 클라우르(Marcelo Claure)는 최근 열린 비트코인 2022에서 포트폴리오의 10%가 비트코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다가올 경기 침체를 대비해 비트코인 보유량을 80~90%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CEO “비트코인, 사람들이 사용해서 가치 있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비트코인은 금처럼 진짜 존재하는 게 아닌데 왜 가치가 있을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라면 가치가 있다. 많은 비물리적 도구에는 가치가 있다. 구글, 페이스북(그리고 비트코인)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람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 이것이 유틸리티 가치다. 비트코인/암호화폐는 거래(국내외), 글로벌 펀드레이징(스타트업, 기부), 예술과 콘텐츠 판매, 인플레이션 헷지, 유동성 제공, 이자수익 획득 등에 사용된다. 5억명 이상이 사용 중이다.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들을 만들어라”고 말했다.
농협은행, CBDC 대응 시범 시스템 구축 착수
이데일리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대응 파일럿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주사업자인 LG CNS를 비롯해 협력사인 CC미디어서비스, 헥슬란트, 블록오디세이 등이 참여한다. 농협은행은 우선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CBDC 도입 시 원활한 유통·결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검증할 예정이다. 또한 전자지갑 서비스를 준비하며 NFT, 스테이블코인 테스트도 진행할 계획이다.
제미니 COO “BTC, 장기적 가치저장수단…결제용으론 부적절”
노아 펄먼(Noah Perlman) 제미니 최고준법감시인(COO)이 디크립트와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장기적 가치저장수단이자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결제수단으로는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그는 “개인적으론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비트코인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금괴로 커피 한 잔을 살 수는 있겠지만 굳이 그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반에크 CEO “블록체인 기술, 월스트리트 완전히 재편할 것”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미국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의 얀 반에크(Jan Van Eck)의 CEO는 최근 인터뷰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주요 금융기관의 운영을 완전히 재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산업은 계속 발전할 것이며, 블록체인 기술은 월스트리트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며 “다만 규제 영향으로 시간은 좀 걸릴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스위스와 독일 등 일부 유럽 국가의 암호화폐 친화적인 입장이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 그는 “유일하게 영국만이 암호화폐에 부정적”이라고 덧붙였다.
NYT “150개 이상 암호화폐 관련 법안, 미국 주 의회 계류 중”
연방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암호화폐 기업 경영진과 로비스트는 업계에 유리한 법안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주 의원들을 공략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즈가 보도했다. 일자리 창출을 원하는 많은 주는 암호화폐 기업들의 입법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현재 150개 이상 암호화폐 관련 법안이 주 의회와 푸에르토리코에 계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법안은 암호화폐 업계가 제안한 워딩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기도 했다. 뉴욕주에서만 암호화폐 업계 로비 규모가 한 달에 14만달러 이상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각에서는 주정부의 완화적인 태도가 암호화폐 사기와 위험한 관행에 대한 보호책 미흡으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갤럭시 디지털, 약 10만 ETH 보유…기업 중 최다
비트코인닷컴이 크립토트레저리 데이터를 인용, 12개 회사가 7억달러 상당 ETH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다 보유 업체는 갤럭시 디지털로, 총 9만8892 ETH를 보유 중이다. 그 다음 이더캐피털코퍼레이션(4만3512 ETH), 코인베이스 글로벌(3만1787 ETH), 메이투(1만5000 ETH), 하이브 블록체인(1만3331 ETH) 순이다. 앞서 제이슨 어반 갤럭시 디지털 공동 대표는 “이더리움(ETH)은 빠르면 2~3년 안에 비트코인 시가총액을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데이터를 인용, 12개 회사가 7억달러 상당 ETH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다 보유 업체는 갤럭시 디지털로, 총 9만8892 ETH를 보유 중이다. 그 다음 이더캐피털코퍼레이션(4만3512 ETH), 코인베이스 글로벌(3만1787 ETH), 메이투(1만5000 ETH), 하이브 블록체인(1만3331 ETH) 순이다. 앞서 제이슨 어반 갤럭시 디지털 공동 대표는 “이더리움(ETH)은 빠르면 2~3년 안에 비트코인 시가총액을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테더, 현금 보유량 줄었지만 유동성 향상
블록체인 스타트업 엑스렉스(XREX)가 최근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분석하고 “테더의 준비금 중 현금 보유 비중이 감소했지만 ‘고품질 유동상 자산’이 많아졌다”고 발표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말 테더는 총 보유 자산이 약 786억 8,000만 달러 규모라고 보고했다. 그중 부채는 약 785억 4,000만 달러로, 그중 약 784억 8,000만 달러는 토큰 발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테더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발행한 USDT보다 많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9월과 비교해 테더는 현금 및 은행 예금을 약 42% 줄인 41억 8,700만 달러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어음은 21% 감소한 241억 6,000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또 MMF에 할당된 자금은 200% 증가한 30억 달러, 미국 단기 국채인 ‘T-Bill’ 보유량은 77.6% 증가한 345억 2,000만 달러를 나타냈다. 테더의 현금 보유량 감소가 준비금 유동성 부족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했지만, 미국 단기 국채(T-Bill) 비중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고품질 유동성 자산’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4월 1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14 |
---|---|
[신문] 2022년 4월 13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13 |
[신문] 2022년 4월 11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11 |
[신문] 2022년 4월 10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10 |
[신문] 2022년 4월 9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