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뉴스

[신문] 2022년 4월 1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by 정보마니아 2022. 4. 14.
728x90

4월 14일

가상자산 뉴스


 

 

캐나다 억만장자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되면 수 조 달러 유입 전망”
캐나다 억만장자 케빈 오리어리(Kevin O’Leary)가 “규제가 명확해지면 거대한 댐에 갇힌 수 조 달러의 자본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밀려들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제도적 관심에 대한 얘기는 많았지만, 사실상 기관들은 아직 게임에 참여하지도 않았다”고 전했다고 데일리호들이 보도했다.  오리어리는 “가장 쉬운 길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캐나다처럼 비트코인 현물 기반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하고, 기관은 비트코인이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ETF를 사는 것이다. 어떤 ETF가 허용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전했다.

 

 

미국 중앙예탁청산기관, 미국 CBDC 파일럿 프로그램 발표
미국 내 주식 거래를 처리하는 미국 중앙예탁청산기관(DTCC)이 미국 첫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 파일럿 프로그램 ‘프로젝트 리튬’을 발표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중앙예탁청산기관은 향후 CBDC의 잠재적 이익과, 금융 시장에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치에 대해 탐구 및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중앙예탁청산기관은 이를 위해 CBDC 지지 비영리 단체 ‘디지털 달러 프로젝트’와 협력하며, 컨설팅업체 액센츄어(ACN)와 협력할 예정이다.

 

 

국제결제은행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금융포용성 제고 가능”
국제결제은행(BIS) 산하 금융안정기구(Financial Stability Institute)가 지난해 하반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도입했거나 준비 중인 9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포용적 금융(financial inclusion)이란 정책 목표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은행들은 CBDC에 대해 두 가지 다른 접근법을 취했다. 일부 중앙은행들은 이를 혁신과 발전의 촉매제라고 봤고, 다른 중앙은행들은 기존의 이니셔티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걸으로 봤다.  CBDC 도입에 있어 가장 큰 과제로는 개인 정보 보호, 그리고 자금 세탁과 테러 자금 조달 문제가 꼽혔다.

 

 

애널리스트 “달러인덱스 급등.. 암호화폐 투자 리스크 커져”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유튜브 팔로워 약 73만명을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벤자민 코웬은 비트코인 트레이더는 달러인덱스(DXY)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웬은 DXY가 오르면 비트코인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DXY가 빠르게 상승할 때 비트코인 낙폭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DXY가 하락세일 때 비트코인은 크게 상승한다고 덧붙였다. 코웬은 “현재 DXY가 급등 중이기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 리스크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현재 DXY는 100.30을 기록 중이다.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PoS 전환, 6월 이후 이뤄질 전망”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가 오늘 오전 “이더리움 병합은 6월이 아닌 그보다 몇달 지나서 이뤄질 전망이다. 아직 확정 날짜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이더리움 PoW(작업증명)의 마지막 장(chapter)에 있는 건 확실하다”고 트위터에서 언급했다. 앞서 이더허브 설립자 앤서니 사싸노는 이더리움 병합이 6월 22일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었다.

 

 

넥소, 유럽서 마스터카드 암호화폐 카드 출시.. 암호화폐 담보 지원
디크립트에 따르면 암호화폐 담보 신용기업 넥소(Nexo)는 마스터카드와 협력, 일부 유럽 국가에서 암호화폐 카드를 출시했다. 넥소 카드는 사용자에 암호화폐 신용 한도를 부여, 암호화폐를 판매하는 대신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 출시를 위해 넥소는 DiPocket과도 제휴했다. 월 최대 2만유로까지 FX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으며, 모든 마스터카드 가맹점에서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中 3대 금융협회 “NFT 발행·거래에 암호화폐 사용 말라”
중국 복수 미디어에 따르면, 대다수 현지 금융기업을 회원사로 둔 중국 3대 금융협회가 회원사에 NFT 발행·거래와 관련한 가격표시, 결제수단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 등 가상화폐를 사용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중국인터넷금융협회, 중국은행업협회, 중국증권업협회는 NFT 금융 리스크를 경고하며 NFT가 금융화, 증권화 되는 추세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셀시우스 CEO “내년 경기 침체 예상, 주식 팔고 비트코인 추매”
핀볼드에 따르면 알렉스 마신스키 셀시우스 네트워크 CEO는 킷코 뉴스 인터뷰에서 내년 미국 경기 침체를 예상한다며 본인은 주식을 팔고 비트코인을 더 매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암호화폐-기술주 상관관계는 추후 탈동조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마신스키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경기 침체 직전, 그리고 경기 침체 기간 동안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며 “가격이 부풀려진 자산, 부동산, 채권, 주식 등은 아무데도 숨길 곳이 없다. 상품을 사고 싶어도 대부분의 상품은 역대 최고가를 달리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돈을 달러화와 상관관계가 없는 산업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 10만달러 이상으로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칼라, 앵커프로토콜과 파트너십 체결…테라-폴카닷 디파이 생태계 연결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폴카닷(DOT) 기반 디파이 프로젝트 아칼라(ACA)가 최근 앵커프로토콜(ANC)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테라(루나, LUNA) 및 폴카닷 생태계 내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분야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웜홀 크로스체인 브릿지 통합 계획에 따라, aUSD 및 UST 유동성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아칼라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CA는 현재 4.19% 내린 1.48 달러, ANC는 현재 1.30% 내린 2.2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CEO “프랑스 사업에 1억 유로 투자 계획”
더블록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프랑스 사업 관련 1억 유로(약 1,329억원)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13일 파리 블록체인 위크 서밋 무대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히며, 파리 기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스테이션F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스테이션F 스타트업 지원에 BNB체인, NFT랩스와 바이낸스 랩스가 동참할 예정이다.

 

 

펙실드 “엘리펀트 머니 해커, 이더리움 네트워크로 3472 ETH 전송”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가 트위터를 통해 “오늘 새벽 디파이 프로젝트 엘리펀트 머니(Elephant Money)를 공격한 해커가 탈취한 자금의 5%(약 1500 BNB)를 토네이도캐시로 이체했으며, 3472 ETH(1000만달러)를 이더리움 네트워크로 전송했다”고 전했다. 앞서 보안 업체 블록섹은 엘리펀트 머니가 해킹 공격으로 400만달러 손실을 입었다고 밝힌 바 있다.

 

 

라인, 일본서 NFT 마켓플레이스 출시
뉴스1에 따르면 라인의 암호화폐·블록체인 사업 자회사 LVC가 NFT 마켓플레이스 라인 NFT(LINE NFT)를 일본에서 공식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용자는 라인 NFT에서 구매한 NFT를 라인의 암호화폐 지갑인 ‘라인 비트맥스 월렛’에 보관할 수 있으며, 다른 이용자와 교환하거나 선물할 수 있다. 라인은 라인 NFT를 통해 Δ일본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요시모토흥업의 ‘요시모토 NFT 시어터 Δ애니메이션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Δ인기 캐릭터 ‘베타쿠마’ 등 약 4만여개의 NFT를 순차적으로 판매한다. 오는 20일부터는 기계체조 선수인 우치무라 코헤이의 은퇴를 기념한 NFT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라인은 라인 NFT와 별개로 자회사 라인넥스트를 통해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를 상반기 중 출시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LN은 6.17% 오른 140.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로닌 해커, 지난주 약 2.1만 ETH 토네이도캐시로 옮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엑시인피니티(AXS)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로닌을 해킹해 약 6.55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빼돌린 해커가 지난주 약 2.1만 ETH를 트랜잭션 믹싱 플랫폼 토네이도캐시로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해커는 자신의 1차 지갑에서 새로운 여러 트랜잭션을 거쳐 2.1만 ETH를 토네이도캐시로 이체했으며, 각각의 거래에서 자금을 100 ETH씩 쪼개 거래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 토네이도캐시로 옮겨진 해킹 피해액은 현재 시세 기준 약 6,500만 달러 상당이다. 현재 로닌 해커가 대다수의 도난 자금을 보관하고 있는 1차 주소에는 약 4.61억 달러 상당의 151,055 ETH가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1.49% 오른 3,061.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SKT 메타버스 플랫폼, 연내 NFT 마켓 출시
뉴시스에 따르면 SK텔레콤이 연내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에 게임 요소를 도입하고 NFT마켓, 아바타·공간 제작 플랫폼 등 새로운 기능을 선보인다. 이 일환으로 SK텔레콤은 3D 그래픽 플랫폼 전문 개발사 모프인터랙티브(Morph Interactive)와 전략적 협력 및 지분 투자 계약을 이프랜드에서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연내 NFT 마켓플레이스도 시작한다. 이를 통해 이프랜드에서 활용 가능한 소품, 아바타, 의상, 공간 등을 개인이 제작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호주 크리켓 선수 협회, NFT 발행 계획
로이터에 따르면 호주 크리켓 선수 협회가 크리켓 중심 NFT 스타트업 라리오(Rario) 및 디지털 트레이딩 업체 블록트러스트와 함께 선수 NFT 발행을 위한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이와 관련 블록트러스트는 이번 계약을 통해 호추 최초 스포츠 메타버스가 구축될 것이며, 호주 크리켓 선수 관련 NFT가 발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애널리스트 “BTC, 지난해부터 기관 자금 유입 본격화…평단가 3만~4만 달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외환 중개업체 오안다(Oanda)의 수석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모야가 “기관 투자자들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비트코인 시장에 유입됐으며, 이들은 대부분 30,000~40,000 달러 구간에서 BTC를 매입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그들이 장기 투자 관점에서 아직 비트코인의 강세 전망을 유지한다면, 지금의 가격대에서 추가 매입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03% 오른 40,131.1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분석 “바이낸스 BTC 보유량 급감 추세…바이낸스발 매도세 약화”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크립토퀀트 기고자 미그놀렛(Mignolet)이 13일 “3월 19일 이후 바이낸스의 BTC 보유량이 급감하고 있다. 이는 바이낸스발 BTC 매도세가 확실히 약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지난해 11월 이후 전체 거래소의 BTC 보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바이낸스의 BTC 보유량은 증가했고, 이는 그간 가격 하락은 바이낸스가 주도했음을 암시하는 지표다. 한편, 최근 바이낸스 내 BTC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이어지는 BTC 가격 움직임은 1~3월 움직임과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낸스가 주도하는 강한 상승세가 펼쳐질 수 있다. 다만, 하락 흐름이 지속된다면 ‘진짜’ 약세장이 시작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61% 오른 40,215.1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독일 축구 매체 원풋볼, 플로우 기반 NFT마켓 론칭 예정
독일 축구 매체 원풋볼이 애니모카브랜드, 대퍼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자체 NFT 마켓플레이스 Aera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발표했다. 해당 NFT 마켓은 플로우 네트워크에 기반하며 이달 중 유명 축구스타 NFT 시리즈 HATTTRICKS을 출시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FLOW는 현재 6.98% 오른 5.7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기반 USDC 시총 400억 달러 돌파…이더리움 기반 USDT 시총 추월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 USD코인(USDC)의 시가총액이 4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이더리움 기반 테더(USDT)의 시가총액을 추월했다. 코인니스는 전날 USDC 발행사 서클이 블랙록, 피델리티 등 투자사로부터 4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전한 바 있다.

 

 

MBC, 샌드박스네트워크와 글로벌 메타버스·NFT 업무협약 체결
연합뉴스에 따르면, MBC가 국내 최대 MCN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와 메타버스·NFT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메타버스·NFT의 글로벌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며 세계 각지에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블록체인 유니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12일 MBC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박재훈 MBC 파트장은 “올해부터 MBC의 콘텐츠와 샌드박스네트워크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와 NFT를 결합한 글로벌 모델을 시장에 선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3월 미국 소비자물가 8.5%↑…예상치 부합
미국 노동부가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5%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8.4% 상승(1981년 12월 이후 최대 상승폭)과 대체로 부합하는 수준이다. 앞서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3월 물가상승률이 엄청나게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미국 법원, ‘DPP 판결’ 관련 SEC 측 재심 요청 기각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에 따르면, 리플-SEC간 소송 담당 치안판사 사라 넷번(Sarah Burnett)이 SEC 측이 요청한 DPP(심의과정특권, 정부 행정기관이 내부 프로세스 관련 내용을 민사 소송 등에서 비공개 요청할 수 있는 권한) 판결 재심 요청을 기각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제임스 필란 변호사는 “리플에게 있어 이번 법원 판결은 ‘큰 승리이다. SEC는 14일 이내에 요청 기각에 대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어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고 전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