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일
가상자산 뉴스
저스틴 비버, 인스타그램에 BAYC NFT 게재
미국 유명 팝스타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가 최근 인스타그램에 BAYC #3001 NFT를 게재했다. 저스틴 비버는 또한 MAYC, 두들스, RTFKT CLONE X, 인비트위너스 등 여러 NFT도 게재했다. 얼마전 비버는 본인의 트위터 계정 프로필 사진을 인비트위너스 NFT로 변경한 바 있는데, 현재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는 2.31억명이다.
SEC, 법원에 리플 소송 디스커버리 추가 자료 제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국 현지 법원에 SEC-리플 소송 관련 디스커버리 추가 자료를 제출했다고 유튜데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리플 측은 SEC가 정해진 기한 안에 제출하지 못한 증거에 대한 채택을 기각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바 있다. 이번 추가 자료 제출 관련 SEC가 리플을 상대로 약간의 승리를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미국 사법제도는 재판이 개시되기 전 당사자들이 서로 가진 증거와 서류를 상호 공개해 쟁점을 명확히하는 ‘디스커버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앤호이저 부시 맥주회사, NFT 및 메타버스 관련 상표 출원
버드와이저(Budweiser) 맥주로 유명한 미국 최대 맥주회사 앤하이저 부시(Anheuser-Busch)가 미국 특허청(USPTO)에 NFT 및 메타버스 관련 상표를 출원했다고 유투데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앤하이저 부시는 자체 메타버스인 버드버스(Budverse)를 만들 계획으로 출원서에는 맥주 캔 NFT, 온라인 게임 서비스, 미술전시 서비스 제공 계획이 포함됐다. 지난해 버드와이저는 NFT 컬렉션을 발행한 바 있는데, 그 시리즈는 출시 한 시간 만에 완판됐으며, 이중 20%는 초기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
러, 우크라에 협상안 전달…”답 기다릴 것”
연합뉴스에 따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측에 자국의 요구를 담은 협상안을 전달했다. 이는 지난달 29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5차 평화협상에서 우크라이나 측이 러시아에 제시한 협상안에 약 3주 만에 서면으로 답한 것이다.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명확한 제안이 담긴 협상안을 우크라이나에 넘겼다”고 밝혔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우리의 초안은 우크라이나 측에 넘겨졌고 여기에는 절대적으로 분명한 요점이 포함돼 있다”며 “공은 우크라이나 측에 넘어갔고 우리는 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협상안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메이커다오, 스타크넷 연동 지원 예정…멀티체인 생태계 확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메이커다오(MKR)가 멀티체인으로의 생태계 확장을 위해 스타크넷 브릿지(StarkNet Bridge)를 지원한다. ZK롤업 기반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스타크넷에서 메이커다오는 프로토콜 리빌딩을 진행할 예정이며, 리빌딩 작업은 오는 28일(현지시간) 시작돼 총 4단계를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더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DAI를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메이커 다오의 스타크넷 배치 관련 관계자는 “스타크넷 기반 메이커 프로토콜은 이더리움에 비해 비용이 약 10배 저렴해 질 것”이라며 “현재 스타크넷의 트랜잭션 처리 시간은 1~2분이지만, 내년 안에 이를 몇 초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스타크넷과 메이커다오의 연동은 총 4단계로 진행된다. 28일 DAI 거래를 위한 토큰 브릿지 출시를 시작으로 2분기 내 레이어2에서 레이어1로의 이체를 구현한다. 세 번째 단계는 ‘텔레포테이션’ 단계로 레이어2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네 번째 단계는 스타크넷에서 다중담보다이(MCD)를 구현하는 것이다. 스타크넷 기반 메이커 프로토콜의 3단계 연동은 오는 7월 말까지 완료될 전망이며, 마지막 단계는 올 연말 혹은 내년 1분기 내 완료한다는 게 메이커다오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MKR은 현재 2.27% 오른 1,877.3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서치 “연내 미국인 360만 명, 암호화폐로 물건 구매할 것”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시장조사업체 인사이더 인텔리전스(Insider Intelligence)가 자체 보고서를 통해 “2022년 약 360만 명의 미국인이 암호화폐를 사용해 물건을 구매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인사이더 인텔리전스 소속 애널리스트들은 “결제 수단으로서의 암호화폐 가치는 연내 7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드, 디지털 지갑과 같이 사람들의 지불 수단에 보다 많은 암호화폐 결제 옵션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는 향후 몇년간 암호화폐 결제 산업의 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해당 보고서는 “미국 내 암호화폐 사용자들은 연내 3,37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는 그 수가 3,720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외신 “코인베이스, 암호화폐 가격 페이지에 ‘옵티미즘’ 추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가격 페이지에 옵티미즘(Optimism)을 추가했다”고 20일 보도했다. 가격 정보가 수치로 표시되지는 않지만 옵티미즘이라는 이름이 페이지에 표시되며 사용자의 해당 페이지 접속도 가능하다는 게 더블록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더블록은 코인베이스가 페이지 테스트를 진행 중일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한 소식통은 해당 페이지는 직접 링크를 통해서만 엑세스할 수 있으며 메인 웹사이트의 검색 결과에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더블록에 밝혔다. 앞서 오데일리는 커뮤니티 의견, 공식 로드맵을 인용해 이더리움 레이어2 스케일링 솔루션 옵티미즘이 자체 발행 토큰 OP를 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한 바 있다.
플랜비 “BTC, 모든 지표 긍정적…강세론자들에겐 최고의 매수 기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S2F 모델’을 고안한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최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블랙스완(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배제한다면 모든 지표들이 비트코인의 강세를 가리키고 있다. 강세론자들에게 지금의 가격대는 최고의 매수 기회”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문보이(근거 없이 무조건 강세론을 펼치는 사람)라고 불릴 위험이 있지만, S2F 모델, 온체인 지표, 거시 뉴스, 비트코인을 채택하는 국가의 증가 추세 등 모든 것들이 긍정적이다. 비트코인의 본격 상승장을 알리는 신호로 선물 마켓의 프리미엄(선물과 현물 가격차)을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2.21% 오른 41,547.3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분석 “비트코인 평균 펀비 작년 말부터 하락세.. 반등 일시적일 수 있다”
선물 마켓 데이터를 보면 비트코인 가격 회복은 일시적일 수 있다고 코인게이프가 진단했다. 블록체인 분석기업 카이코(Kaiko)는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마켓에서 가격 상승 베팅 수요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비트멕스, 바이비트, 데리비트, FTX 등 5개 파생상품 거래소 평균 펀딩비는 2021년 말부터 계속해서 하락 중이다.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 펀딩비도 2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디어는 기술 차트를 보면 비트코인은 짧은 반등 후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펙실드 “BNB체인 기반 프로젝트 MaxAPY서 러그풀 발생”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방금 전 트위터를 통해 BNB체인 기반 자동담보 프로토콜 MaxAPY 파이낸스에서 러그풀이 발생, MaxAPY 토큰 가격이 단시간 내 67% 하락했다고 전했다. 컨트랙트 소유자는 1042 BNB(약 44만달러)를 이체했으며, MaxAPY 파이낸스의 공식 트위터와 텔레그램 계정은 삭제된 상태다.
시카고옵션거래소, 디지털자산·NFT 마켓 관련 상표 출원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미국 특허청(USPTO)에 디지털자산 및 NFT 마켓 신설을 위한 상표 ‘CBOE 디지털’을 출원했다고 미 변호사 마이크 콘두디스가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노션, 현대차와 함께 NFT 사업 본격화…한정판도 발행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광고 계열사 이노션 월드와이드가 NFT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노션은 자동차 업계 최초로 커뮤니티 기반 NFT 시장에 진출한 현대차의 NFT 세계관 ‘현대 메타모빌리티 유니버스’ 운영사를 맡는다. 이를 위해 이노션은 작년 하반기부터 ‘메타버스랩’을 신설하고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등 메타버스 사업 역량을 강화해왔다고 전했다. 이노션은 NFT 시장 진입을 기념해 이날 첫 NFT를 발행했으며 향후 메타콩즈를 비롯해 여러 메타버스 플랫폼들과 협업하며 NFT, 메타버스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잭 도시 “ETH 기반 프로젝트, 관심 없다”
잭 도시 트위터 공동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에는 수많은 실패 포인트가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에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트윗은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 이더리움 창시자가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를 원칙적으로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이것이 자유적이지 않은 개인 및 조직에게 위험한 선례를 남길까 우려한다”고 밝힌 이후 나온 것이다.
미국 변호사 존 디튼 “SEC와 리플 합의 시, ‘윈윈’ 가능”
리플(XRP)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Deaton)이 최근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이 이번주 약식판결 일정 조율을 앞두고 있다. 원고와 피고가 합의에 도달한다면, 양측 모두 양보와 합의를 통해 ‘윈윈’할 수 있다”고 전했다. 존 디튼은 “장기간 이어진 소송 준비 절차에서는 피고(리플)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갔지만, 리플이 패소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만약 SEC와 리플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소송의 결과는 배심원단의 판단에 달려있다. 만약 소송의 초점이 ‘공정한 고지'(fair notice)가 아닌 엄격한 하위 테스트 기준에 맞춰진다면 SEC가 불리할 수 있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4월 23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23 |
---|---|
[신문] 2022년 4월 22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22 |
[신문] 2022년 4월 20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20 |
[신문] 2022년 4월 19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19 |
[신문] 2022년 4월 18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