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뉴스

[신문] 2022년 4월 7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by 정보마니아 2022. 4. 7.
728x90

4월 7일

가상자산 뉴스


 

미국 M세대 “은퇴 자금으로 주식보다 암호화폐 투자”
미국 투자정보 사이트 인베스토피디아(Investopedia)의 설문조사 보고서를 인용, 미국 밀레니얼 세대(M세대)의 28%가 은퇴 자금으로 암호화폐를 사용할 계획이라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인베스토피디아는 18세~76세 미국 성인 4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응답결과에 따르면 은퇴 자금으로 암호화폐를 사용한다고 답한 밀레니얼 세대 비중 28%로, 주식 27%, 저축 25% 보다 높았다. 은퇴 자금으로 암호화폐를 선택한 X 세대 및 Z 세대 비중은 M세대 보다 낮은 각각 20%, 17% 이다.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 역대 최저 기록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데는 세그윗 사용 증가, 라이트닝 네트워크 성장, 배칭(일괄 처리), 채굴자 매도 감소, 프로토콜 개선 등이 수수료 감소의 요인이었다고 분석했다.  암호화폐 데이터분석 전문 업체인 글래스노드의 수석 온체인 분석가 제임스 체크는 “배칭, 세그윗 사용 증가만이 수수료 하락 원인은 아니다.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따른 개인 관심이 떨어진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고 전했다.

 

 

돈나무 언니 “비트코인, 애플과 테슬라 같은 파괴적 혁신”
아크 인베스트 대표이자 돈나무 언니라고 불리우는 캐시 우드(Cathie Wood)가 최근 유튜브 채널을 통해 “비트코인은 아마존, 애플, 테슬라 등과 함께 파괴적 혁신 영역에 속한다”고 전했다.  우드는 “2015년 우리가 처음 비트코인에 접근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마케팅을 위한 술수라고 지적했다. 우리도 당시 비트코인 가치를 60억달러 정도로만 평가했다. 하지만 7년만에 비트코인 시총은 1조달러에 육박한다. 과거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폰지 사기라고 간주했음을 기억하라”고 전했다.

 

 

스웨덴 중앙은행, CBDC 스마트 결제 테스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스웨덴 중앙은행이 e-크로나를 활용한 새로운 결제 솔루션 구축 방안과 효과를 테스트한다. 중앙은행 보고서에서 앞서 시중은행과 진행한 CBDC 테스트 및 휴대전화에 CBDC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솔루션 테스트 결과를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또 e-크로나 파일럿 버전이 EU의 GDPR 개인정보보호법에 위배될 수 있다면서,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과 관련해 유럽 데이터 보호 당국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해시레이트 하락 시 PoS 전환 앞당길 수 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PoS(지분증명) 전환이 임박함에 따라 채굴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PoS 전환 전 마지막 보상을 받기 위해 기다리는 것보다는 채굴기를 판매하는 것이 더 수익성이 높다고 판단, 병합 직전 채굴을 포기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시레이트가 급격하게 떨어지면 네트워크의 보안이 약화돼 이더리움 기반 토큰과 여러 앱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와 관련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는 “해시레이트가 떨어지면 병합을 앞당길 수 있다. 또한 모든 소프트웨어는 비상 옵션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채굴자들은 과거 수차례 지연됐기 때문에 병합이 임박했음을 믿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팀 베이코는 “이더리움이 5년 동안 PoS 전환을 약속했기 때문에 회의론이 많다. 이번에는 진짜라고 사람들을 설득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병합과 관련해 비트 마이닝(BIT Mining) 부사장 대니 정(Danni Zheng)은 “PoW와 PoS 체인이 일정 기간 공존할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PoS 전환 이후 기존 채굴자들이 도지코인, 라이트코인, 모네로 같은 유사한 토큰 채굴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기도 한다. 디지털자산 핀테크 회사 비투다(Bitooda) 최고전략책임자 샘 닥터는 “다른 체인의 해시레이트가 하룻밤 사이 5~10배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분석 “美 국채 실질수익률 2년 최고…비트코인에 불리”
미국 10년물 국채 실질수익률(인플레이션을 반영한 투자수익률)이 -0.38%로 2020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가치저장소 및 위험자산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투자리서치 플랫폼 트루인사이트(True Insights)는 이와 관련해 “실질수익률 상승이 멈추면 금과 비트코인이 큰폭으로 오를 수 있으나, 아직은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으며, 카이코 리서치는 “차입 비용의 상승은 기술주, 암호화폐 등 위험자산에 피해를 준다”고 진단했다. 한편, 미국 10년물 국채 명목수익률은 3년 최고치인 2.6%를 돌파했다.

 

 

로닌 해커, 후오비 및 토네이도캐시로 약 5,634 ETH 이체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슬로우미스트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6일 15시 5분 경 엑시인피니티(AXS)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로닌을 해킹한 공격자 주소에서 후오비 글로벌로 1,233.9811 ETH가 이체됐다. 이어서 해당 주소는 트랜잭션 믹싱 플랫폼 토네이도캐시로 4,400 ETH를 이체했다. 총 이체된 이더리움은 약 5,634 ETH로, 현재 시세 기준 약 1,896만 달러 상당이다.

 

 

엑시인피니티, 3월 매출 전달 比 61% 감소
비인크립토 리서치에 따르면 엑시인피니티(AXS)의 3월 매출은 3,181만 달러로, 전달 8,200만 달러 대비 61% 감소했다. 또 이는 사상최대를 기록했던 지난 8월 8억 4,800만 달러와 8억 1600만 달러나 차이나는 규모다. 비인크립토 리서치는 엑시인피니티의 월간 매출이 올 들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며 특히 3월에는 NTF 구매자, 거래수, 평균 판매량 등이 모두 줄었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XS는 현재 8.82% 하락한 58.5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ETH 평가가치, 최대 9328달러”
마켓워치에 따르면 블룸버그 산하 블룸버그 인텔리전스가 최신 보고서에서 이더리움에 P/E(시가총액 대비 당기순이익) 평가기준을 적용하면 ETH 가치는 9328달러라고 평가했다. 그 외 2종 현금흐름 할인 모델 적용 시 ETH 가치를 각각 6128달러, 5539달러로 책정했다. 또 디파이, NFT 수요 증가로 올해 이더리움이 127억달러 규모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전년 대비 30% 늘어난 규모다. 암호화폐 ETP(상장지수상품) 관련, 보고서는 ETP 운용 자산이 2028년까지 지금의 2배인 1200억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 애널리스트는 “점차 더 많은 국가에서 암호화폐 현물 ETF가 출시될 것이며, 올해와 내년 급속한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난민기구, 암호화폐 기부 첫 수용
라이브민트에 따르면 유엔난민기구(UNHCR)가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을 위한 스테이블 코인 기부를 처음으로 수용했다. UNHCR은 보도자료를 통해 바이낸스 산하 자선단체 바이낸스 채러티(Binance Charity)가 기부한 250만 달러 규모의 BUSD 기부를 수락했다고 밝혔다. 앞서 바이낸스 채러티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한 1000만 달러 규모의 기부를 약속 한바 있다.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울티마 쿠페 마지막 경매 낙찰자에 NFT 지급
외신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슈퍼카 제조업체 람보르기니(Lamborghini)가 한정판 슈퍼카 모델 ‘아벤타도르 울티마 쿠페’의 마지막 차량 경매 낙찰자에게 자체 제작 NFT를 지급할 계획이다. 해당 모델은 아벤타도르 데뷔 10년 만의 마지막 모델로, 쿠페의 경우 총 350대 한정 생산된다. 낙찰자에게 지급되는 NFT는 디지털 아티스트 크리스타 킴과 유명 DJ 스티브 아오키가 제작에 공동 참여한다. NFT 보유자에게는 제작자와의 미팅 및 뮤지오 람보르기니 투어 티켓 등 VIP 특전이 함께 지급된다. 람보르기니의 이번 경매는 RM 소더비에서 오는 4월 19일 시작될 예정이다.

 

 

스카이브릿지캐피탈 CEO “블록체인 미래 밝지만 미국 정계가 장애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전 백악관 통신국장이자 미국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탈 CEO 앤서니 스카라무치가 최근 호주에서 개최된 암호화폐 서밋에 참석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산업의 미래는 밝지만, 일부 미국 정치인들은 산업 성장의 가로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업계의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미국 지도부의 ‘절대적으로 비열한’ 정치인들”이라며 “특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테드 크루즈가 차기 대선의 우세를 점한다면, 이는 암호화폐 업계가 매우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테드 크루즈는 사적 자리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같은 인사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하다가도, 공개적인 자리에서는 긍정적으로 말을 바꾸는 위선자”라고 지적했다. 테드 크루즈는 미국 상원 내 대표적인 친암호화폐 인사지만, 앞서 지난 3월 30일 개인에게 CBDC를 직접 발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美 법원, SEC에 8일까지 리플 소송 관련 ‘내부 문서 수정본’ 제출 명령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에 따르면, 해당 소송의 담당 치안판사 사라 넷번이 SEC에 ‘내부 문서 수정본’을 4월 8일까지 제출하라고 명령했다. 앞서 SEC는 DPP(심의 과정 특권, 정부 행정기관이 내부 프로세스 관련 내용을 민사 소송 등에서 비공개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사유로, 법원에 직원이 작성한 필기 메모의 일부 내용을 수정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논란의 메모는 비트코인 및 ICO의 법적 포지션에 초점을 맞춘 회의와 연관이 있으며, 앞서 이더리움(ETH)은 유가 증권이 아니라고 말한 윌리엄 힌먼(William Hinman) SEC 기업금융국장의 연설 내용이 담긴 이메일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리플 측은 이와 관련 SEC의 내부 문서 수정 요청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답변을 법원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3.02% 내린 0.801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마크 큐반 “이더리움 병합 낙관적… ETH 가격 오를 것”
미국 프로농구팀 댈러스 매브릭스의 구단주이자 억만장자 투자자 마크 큐반(Mark Cuban)이 최근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ETH) 병합에 대한 낙관적인 의견을 제기했다. 그는 “병합이 완료되면 이더리움이 지분증명(PoS) 블록체인 비콘체인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이더리움 에너지 소비가 99%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 병합 후 이더리움 발행량이 감소하고 수요가 증가하면 이더리움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이더허브 설립자 앤서니 사싸노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병합이 오는 6월 22일 이뤄질 것이라 밝혔다고 전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 임원 “OTC 암호화폐 옵션 거래에 ETH 추가 계획”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 암호화폐 거래 글로벌 책임자인 안드레이 카잔체프(Andrei Kazantsev)가 적절한 시기에 장외거래(OTC) 암호화폐 옵션 거래에 이더리움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더리움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골드만삭스는 갤럭시디지털과 OTC를 통해 ‘차액정산(Non-deliverable) 비트코인 옵션’ 상품을 최초 거래한 바 있다.

 

 

그레이스케일, 현물 ETF 승인 촉구 광고
유투데이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이 GBTC ETF 전환 촉구를 위해 뉴욕 및 워싱턴DC 내 대중교통에 대규모 광고를 진행한다. 그레이스케일은 뉴욕의 펜 역(Penn Station)과 DC 유니온 역(Union Station)에 앞으로 3개월 동안 광고를 전개한다. 해당 역들은 뉴욕 및 DC 교통 허브의 중심이다. 미디어는 “그레이스케일이 4월 6일부터 7월 초까지 광고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는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그레이스케일 GBTC->비트코인 현물 ETF 전환 승인 여부 결정 마감 기간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2월 그레이스케일은 240일 검토 기간 동안 미국 투자자들이 SEC에 코멘트 레터를 보내도록 장려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美 상장 채굴 기업, 탄소 중립 위해 석탄 가동 채굴장서 장비 이동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비트코인 채굴기업 마라톤 디지털이 석탄으로 가동되는 몬태나주 하딘(Hardin) 채굴장 내 장비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장비 규모 및 이동시킬 지역에 대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기업 측은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발전소에 채굴장비를 배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라톤은 2022년 말까지 100% 탄소 중립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 재무부, 러시아 기반 다크웹 마켓·암호화폐 거래소에 제재 조치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러시아 기반 유명 다크웹 사이트 및 암호화폐 거래소에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다크웹 히드라 마켓(Hydra Market)과 암호화폐 거래소 가란텍스(Garantex)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며, “미국인의 해당 마켓 및 거래소에 대한 상품, 서비스 제공을 금지한다. 제재를 위해 독일, 에스토니아 등 동맹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히드라와 관련된 117개 비트코인 월렛을 제재 목록에 추가했다. 미디어는 “러시아를 차단하라는 광범위한 정치적 압력에 따라 진행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독일 연방 경찰은 히드라를 폐쇄 조치했다고 밝혔다. 또 이 과정에서 독일 수사당국은 2,500만 달러 상당의 543 BTC를 압수했다고 덧붙였다.

 

 

美 연준 2인자 “더 강력한 조치 취할 수 있다”
라엘 브레이너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부의장이 5일(현지시간)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다. 이를 낮추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그는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다. 꾸준한 금리인상 및 대차대조표 축소가 필요하다”며 “연준은 5월 회의 직후 빠른 속도로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할 것이다. 향후 인플레이션 지표 및 인플레이션 기대치 등을 고려해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현재 시장은 연준이 5월 FOMC 정례회의에서 50bp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라엘 브레이너드는 제롬 파월에 이은 연준 2인자다.

 

 

크라켄, 기관 투자자 전용 스테이킹 구조화 상품 출시 계획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기관 투자자를 위한 스테이킹 구조화 상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크라켄 측은 스테이킹과 파생상품, 또는 선물상품을 사용하는 구조화 상품을 가까운 시일 내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자산을 스테이킹한 후 동일한 자산에 대한 선물 계약을 판매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암호화폐에는 직접 투자하지 않은 상태로 스테이킹 보상에 따른 이익은 거둘 수 있다.

 

 

스타벅스 CEO “올해 안에 NFT 사업 시작 계획”
긱와이어(Geekwire)에 따르면 최근 CEO로 복귀한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 스타벅스 창업자가 4일(현지시간) 타운홀 미팅에서 올해 안에 NFT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디지털 네이티브가 아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통해 예술품, 비디오, 사진 및 기타 디지털 콘텐츠의 고유한 소유권을 확보하도록 하는 NFT에 대해 연구해왔다”며 “NFT 사업을 시작하려는 회사, 브랜드, 유명인, 인플루언서를 보라. 스타벅스 보다 NFT에 더 적합한 곳은 없다”고 덧붙였다. 해당 내용은 한 미디어 소속 기자가 자신의 트위터에 미팅 영상을 올리면서 유출됐다. 하워드 슐츠는 2017년까지 20년 동안 스타벅스를 운영해온 인물이다.

 

 

유니버설뮤직그룹, BAYC 관련 4가지 상표 출원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세계 4대 음반사 중 하나인 유니버설뮤직그룹(UMG)이 지난 3월 발표한 BAYC NFT 4인조 밴드와 관련된 4가지 상표를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UMG는 특허청에 제출한 서류에서 암호화폐 토큰, 유틸리티 토큰, 애플리케이션 토큰, 대체불가능토큰과 현물 및 가상 상품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스토어 서비스에 대한 계획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UMG는 지난해 11월 4개의 의인화된 NFT로 구성된 밴드 ‘킹쉽’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으며, 해당 밴드의 리더를 맡을 NFT BAYC #5537을 약 36만 달러에 구매한 바 있다.

 

 

미 연준 2인자 “기준금리 50bp 인상, 고려해야 할 옵션”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준의 2인자인 레이얼 브레이너드 부의장이 5일 가진 연설에서 “기준금리 50bp 인상은 우리가 고려해야 할 옵션”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이날 “완화적 통화정책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오는 5월 실시될 정책적 조정은 중립적을 넘어서야 효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르면 5월 연준의 대차재초표 축소가 시작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비트코인 추가 매입
미국 증시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의 대표인 마이클 세일러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비트코인 4167개를 1억 9,050만 달러에 추가 매입했다고 전했다.  이번 BTC 추가 매입의 평단가는 45,714 달러이다.  이번에 추가 구매한 비트코인을 포함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총 비트코인 129,218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시세 기준 이는 약 48억 달러 규모이며, 비트코인 평단가는 30,700 달러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