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뉴스

[신문] 2022년 3월 17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by 정보마니아 2022. 3. 17.
728x90

3월 17일

가상자산 뉴스


미국 SEC, 암호화폐 예금 상품 위험성 경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근 암호화폐 예금 상품의 위험을 경고했다.  미국 SEC는 “암호화폐 예금 상품을 제공하는 업체들은 은행이나 신용조합과 같은 제도적 보호를 받지 않는다. 또한 예금 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은행 예금 상품과 같은 안정성과 건전성을 기대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SEC는 암호화폐 예금 상품의 위험 요인으로 불분명한 투자처, 암호화폐 시장의 높은 변동성과 유동성 부족, 국내 또는 외국 규제 리스크, 사기, 기술적 결함, 해킹 등을 언급했다.

 

 

마이크 노보그라츠 “비트코인, 5년내 50만 달러 돌파”
갤럭시 디지털의 대표인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블룸버그TV에 출연해 “비트코인이 5년안에 50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보도그라츠는 “비트코인이 전세계 모든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고 있다.  비트코인은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다이아몬드나 금에 비교할 수 있다”고 전했다.

 

 

포브스 선정 1위 암호화폐 거래소는 코인베이스
포브스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순위를 발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포브스는 거래량 등을 10개 기준을 적용해 업계 상위 60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순위를 발표했는데, 1위로는 코인베이스, 2위는 크라켄, 3위는 로빈후드가 선정되었다.  포브스는 “코인베이스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미국 IPO 역사상 최대 첫날 시총인 860억 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미국 내 44개 주에 서비스를 합법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 거래소 중 가장 많은 코인과 NFT 마켓, 파생상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크라 대통령, 암호화폐 합법화 법안에 서명
우크라이나가 정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암호화폐 산업을 합법화하는 법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해당 법안은 해외 및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의 합법적 운영과 암호화폐 기업의 은행 계좌 개설을 승인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앞서 우크라이나는 암호화폐로 8000만 달러 이상의 기부금을 받은 바 있다.

 

 

전 SEC 자문위원 “겐슬러 위원장, 암호화폐 규제에 ‘권한 남용'”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문위원 J.W. 베렛(J.W. Verret)이 최근 한 인터뷰에서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 권력을 남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SEC 자문위원회를 떠나면서 나는 SEC에 ‘디지털 자산 규제에 대한 SEC의 대중의견 수렴’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러한 요청은 수용되지 않았다. 오늘날 SEC의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접근 방식은 시대에 뒤떨어진다. SEC가 미국 연방 증권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하위 테스트를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SEC와 리플 간의 소송과 같은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되고 일관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리플은 해당 소송에서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암호화폐 이체 크롬 확장 앱 ‘코인베이스 페이’ 출시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16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크롬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암호화폐 이체를 지원하는 확장 애플리케이션 ‘코인베이스 페이’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코인베이스는 “코인베이스 사용자는 해당 앱을 통해 코인베이스 플랫폼 로그인 없이 코인베이스 지갑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웹3에 접속할 수 있다. 이는 보다 간소화된 절차로 디파이에 참여하거나 NFT를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코인베이스 월렛과 연동돼 암호화폐 오입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브스 “XRP·SEC 소송 결과에 수 조 달러 걸렸다”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가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 결과에는 수 조 달러가 걸려있으며, 암호화폐 업계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16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포브스는 “지난 2020년 12월 SEC는 리플이 판매한 XRP가 등록되지 않은 유가 증권이라고 주장하며 법원에 리플랩스 및 리플 공동 창업자 두 명을 기소했다. 이같은 행보를 암호화폐 업계는 SEC가 모든 암호화폐 시장 참가자를 향해 광범위한 공격 루트를 개척하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만약 해당 소송에서 SEC가 승소하게 된다면, SEC는 모든 토큰 혹은 디지털 자산을 증권으로 간주하고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선례를 확보하는 셈이다. 또 이를 통해 SEC는 암호화폐에 대한 일방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의 권한이 SEC에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반대로 리플이 승소한다면, 업계는 SEC가 공정한 고지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토큰 판매는 법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선례를 확보할 수 있으며, SEC는 포괄적인 공식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소송은 수조 달러의 가치가 걸려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수 주, 수 개월간 모든 사람들의 관심이 해당 케이스에 집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美 뉴욕시장 “청년들, 비트코인에 10달러 투자 권장”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에릭 애덤스(Eric Adams) 미국 뉴욕 시장이 “개인적으로 청년(young people)들이 비트코인에 10 달러를 투자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최근 개최된 웹3 컨퍼런스 패널 토론에 참석해 “블록체인은 소득불평등을 해소하고 시민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청년층을 위한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암호화폐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 그는 이날 프란시스 수아레스(Francis Suarez) 마이애미 시장과 함께 “급여로 지급받은 비트코인을 아직 보유 중”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4.52% 오른 40,473.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중국계 채굴 업체 비트디지털, 보유 채굴기 39% 북미에 배치 완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중국계 암호화폐 채굴업체 비트디지털(티커: BTBT)이 보유 암호화폐 채굴기의 약 39.2%를 북미 지역에 배치 완료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15일 기준 10,462 대의 비트코인 채굴기와 712 대의 이더리움 채굴기가 북미 지역 채굴장에 배치됐으며, 북미 지역에 배치된 해시레이트는 각각 비트코인 0.511 EH/s, 이더리움 0.188 TH/s다.

 

 

플랜비 “BTC, S2F 예측 모델 기준 60% 저평가 상태”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S2F 모델’을 고안한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16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S2F 모델 기준 현재 BTC 가격은 약 60% 저평가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사람들은 S2F 모델은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향후 2년 내 BTC 평균가가 10만 달러까지 상승한다면 S2F 모델은 아직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4.28% 오른 40,323.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러시아, 사실상 디폴트 선언”
블룸버그 통신이 16일 러시아가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 제재의 직격탄을 맞고 100여년 만의 첫 국가부도를 선언하기로 했다”며 “러시아의 달러화 표시 국채에 대한 이자는 7억 3천만 달러로 지급일이 이달에 집중되어 있다. 그 중 2건의 달러화 표시 국채에 대해 1억 1,700만달러의 이자를 16일까지 지급 해야하는데 러시아 재무부는 이와 관련해 디폴트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전했다. 이자 상환을 달러가 아닌 루블화로 하겠다는 것은 사실상의 디폴트 선언이나 다름없다는 게 블룸버그 측의 설명이다.

 

 

美 유명 벤처투자자 애덤 델 “블록체인 유용성, 부정할 수 없다”
미국 유명 벤처캐피탈리스트이자 온라인 증권·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도메인 머니의 최고경영자(CEO)인 애덤 델(Adam Dell)이 16일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분야에서 발휘할 수 있는 유용성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오늘날 금융 시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투기적 관점과 무관하게 블록체인 기술에서 파생되는 실제 수익과 현금 흐름은 해당 산업을 상당한 수준까지 성장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샌드박스, HSBC은행과 파트너십.. 글로벌 금융사 중 최초
더샌드박스가 HSBC은행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글로벌 금융사 중 더샌드박스 메타버스에 합류한 첫 사례다. HSBC은행은 더샌드박스 가상토지를 매입할 예정이며 더샌드박스는 글로벌 금융서비스 및 스포츠 커뮤니티와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라인넥스트, 소프트뱅크 등 26개사와 파트너십..NFT 생태계 구축
뉴스1에 따르면 라인의 글로벌 NFT 플랫폼 자회사 라인넥스트가 글로벌 NFT 생태계 구축을 위해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Δ게임 Δ엔터테인먼트 Δ웹툰 Δ메타버스 Δ아트 Δ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해 글로벌 NFT 밸류 체인을 구축하고 생태계 확장을 주도할 예정이다.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된 NFT는 라인넥스트에서 개발 중인 글로벌 NFT 퍼블리싱 플랫폼 ‘도시'(DOSI)에서 활용할 수 있도로 개발한다. 이번 파트너십에 참여하는 26개 기업은 Δ소프트뱅크 Δ네이버 Δ라인 대만 Δ네이버제트 Δ네이버웹툰 Δ라인스튜디오 Δ라인게임즈 Δ씨제이이엔엠(CJ ENM) Δ와이지플러스 Δ해시드 Δ케이옥션 Δ신세계 Δ비자 Δ크립토닷컴 Δ에이펀인터렉티브 ΔAI네트워크 Δ제이엔존 ΔK현대미술관 Δ로드컴플릿 Δ롯데월드 Δ미티컬게임스 Δ판게아 Δ피치스 Δ111퍼센트 Δ리치에일리언 Δ와우포인트 등이다.

 

 

보안 업체 “헌드레드·Agave 해킹, ERC-677 토큰 전송과 관련”
그노시스 기반 헌드레드파이낸스와 Agove가 해킹으로 1100만달러를 도난당한 것과 관련,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페어리프루프(Fairyproof)가 “이번 해킹은 ERC-677 토큰 전송과 관련 있다”며 “ERC-677 토큰 내 트랜스퍼앤드콜(transferAndCall) 함수를 이용한 재진입 취약점로 인해 공격 당한 것”이라고 트위터를 통해 분석했다. 이에 페어리프루프는 개발자들에게 ERC-20과 ERC-677 토큰 차이점에 유의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재진입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기능을 추가할 것을 권고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그노시스 기반 헌드레드 파이낸스, Agave가 모두 해킹 당해 1100만달러를 도난 당했으며, 해커가 토네이도캐시로 4479 ETH를 이체했다고 전한 바 있다.

 

 

알라메다 리서치·크래커랩스,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 합류
알라메다 리서치와 크래커랩스가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에 합류한다고 클레이튼이 16일 발표했다. 이들은 클레이튼 프로젝트 투자, 인프라 개발 등에 나설 예정이다. 알라메다 리서치는 샘 뱅크먼 프라이드 FTX CEO가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 업체이자 벤처투자회사다. 크래커랩스는 싱가포르 기반 웹3 프로젝트 투자사다.

 

 

분석 “비트코인 거래소 내부 총 거래량 16년 12월 이후 최저.. 추세 전환은 역부족”
크립토퀀트 기고자 Grizzly는 “비트코인 거래소 내부 총 거래량이 2016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강세 요인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추세를 전환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거래소 내부 총 거래량은 거래소 내부 지갑들 사이에 이동한 코인의 총량이다.

 

 

분석 “비트코인 200일 이동평균 $48622 돌파해야 본격 상승”
코인게이프는 “비트코인이 오늘 41000달러를 일시 돌파, 20일 EMA 및 50일 이동평균을 상회했으나 200일 이동평균(DMA) $48622까지는 아직 멀었다. $48622를 돌파해야 본격적인 상승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일시 반등에 속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다. 전날 글래스노드 공동 설립자는 “비트코인이 $38000~$42000 범위에서 등락을 거듭하면서 청산 규모가 감소했다. 롱(매수) 청산이 지배적이다. $36000~$45000 범위를 깨면 큰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갤럭시 디지털 설립자 마이크 노보그라츠는 미 연준의 양적긴축 움직임에 따라 비트코인이 ‘공격적으로’ 랠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노보그라츠는 비트코인이 올해 $30000~$50000 범위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단, 5년 내에는 50만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멕시코 3대 부호 “7월 이전 자체 발전소에서 비트코인 채굴 계획”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멕시코 3대 부호 중 한 명인 리카르도 살리나스 살리나스그룹 회장은 7월 이전에 자신의 발전소에서 비트코인을 채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살리나스 회장이 비트코인 채굴에 관심을 보였다고 전한 바 있다. 작년 6월 인터뷰에서 그는 자산의 10%를 비트코인으로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저커버그 “인스타그램, 가까운 시일 내 NFT 도입”
마크 저커버그 메타(구 페이스북) CEO가 엔터테인먼트 페스티벌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페스티벌에서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 “가까운 시일 내에 인스타그램에 NFT가 도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단 구체적인 내용과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앞서 지난 1월 파이낸셜타임즈는 메타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이 NFT를 프로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설문조사 “필리핀 게이머 33%, NFT 게임 위해 직장 관둘 의향 있다”
NFT 게임 플랫폼 발타자르(Balthazar)가 최근 필리핀 게이머 1,103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약 33%의 응답자가 “NFT 게임을 전업으로 하기위해 직장을 그만둘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번 설문 응답자 중 59%는 “NFT 게임 플레이를 주업, 직장을 부업으로 두는 것을 선호한다”고 했으며, 응답자 중 69%는 “NFT 게임 플레이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기엔 현재 NFT 가격이 너무 낮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