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3일
가상자산 뉴스
피터 브랜트, “Z세대, 비트코인과 우량주 저가 매수후 보유하라”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트위터를 통해 “Z세대에게 주는 조언으로 비트코인과 우량주를 저가 매수하고 보유하라”고 전했다. 브랜트는 이외에도 “전망 좋은 분야에서 학위를 따고, 학자금 대출은 최대한 줄이고, 좋은 직장을 얻고, 투자는 취미로 여기고, 주택을 마련하고 결혼하고 검소하게 살며, 비트코인과 우량주를 계속 싼가격에 매수하라”고 전했다.
로빈후드 법무 책임자 “암호화폐, 금융인프라 혁신 주도..합리적 규제 필요”
유투데이에 따르면 전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이자 현 로빈후드의 법무 책임자인 댄 갤러거(Dan Gallagher)가 체다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산업은 명확성을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암호화폐는 세계 금융인프라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합리적인 규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미연준(Fed)이 디지털달러를 도입하면 증권 거래의 결제 주기가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英 금융감독청, 암호화폐 ATM 업체에 운영 중단 명령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암호화폐 ATM 업체에 운영 중단을 명령했다고 텔레그래프가 전했다. FCA는 이들에게 서한을 보내 “암호화폐 ATM 업체는 당국에 등록해야 하고 자금세탁방지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며 “현재 등록된 업체 중 어느 곳도 암호화폐 ATM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승인된 바 없으므로 이는 불법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코인ATM 레이더에 따르면 영국에는 81대 비트코인 ATM이 있다.
랜 노이너 “CBDC 활용한 정부 검열 비판 영상, 유튜브에서 삭제 당해”
CNBC 크립토트레이더 쇼 호스트 랜 노이너가 트위터를 통해 “정부가 CBDC를 활용해 우리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CBDC 비판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으나, 영상 삭제 및 채널 경고 조치를 받았다.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갤럭시디지털 CEO “암호화폐, 세상을 바꿀 것…행정명령 환영”
미국 암호화폐 전문 금융 솔루션 업체 겸 투자업체 갤럭시디지털의 마이크 노보그라츠 최고경영자(CEO)가 11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퍼블릭 체인과 암호화폐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는 “미국 행정부가 행정 명령을 통해 암호화폐 업계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한다. 글로벌 암호화폐 경제에서 미국이 리더십을 가질 수 있는 기회다. 정책 입안자들의 업계 참여는 암호화폐 산업을 바로잡는 데 매우 중요하다. 민관 협력을 통해 암호화폐가 미국에서 발전하고, 나아가 전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만들 기회가 주어졌다”고 강조했다.
日 자민당 의원 “웹3.0, 국가 전략 핵심으로 삼아야”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시오자키 아키히사 일본 자민당 의원이 11일 중의원 재무금융위원회에서 “웹3.0을 국가 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바이든 미국 정부의 최근 암호화폐 행정 명령 서명 등 상황을 언급하면서 “일본도 웹3.0 장관을 둬야한다”고 강조했다. 시오자키 의원은 지난 1월 자민당의 디지털 사회 추진본부가 설립한 NFT 정책 프로젝트 검토팀에서 사무국 차장을 맡고 있다. 일본에서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조예가 깊은 인물로 알려져있다.
스케쳐스, 디센트럴랜드 메타버스 체험매장 임대계약 체결
운동화 브랜드 스케쳐스가 디센트럴랜드 메타버스 패션스트리트(Fashion Street Estate) 구역 체험매장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스케쳐스는 토큰스(Tokens) 자회사 메타버스그룹(Metaverse Group)과 해당 임대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간 크기는 5000제곱미터로, 3/24~3/27 최초의 메타버스 패션위크를 개최할 예정이다.
자메이카, CBDC 초기 사용자 10만 명에 16 달러 상당 CBDC 에어드랍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앤드류 홀니스 자메이카 총리가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 ‘자메이카 디지털 익스체인지'(이하 Jam-Dex)를 사용하는 최초 10만 명의 사용자에게 16 달러 상당의 Jam-Dex를 에어드랍한다고 밝혔다. 해당 발표에 대한 댓글 여론은 ‘디지털 미래를 받아들인 사례’라는 칭찬과, ‘시민들에 뇌물을 바치고 있다’는 비판이 섞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앤드류 홀니스 자메이카 총리는 지난 2월 연내 자메이카 CBDC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위터 “암호화폐 관련 트위터 언급량, 연간 242% 증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 트위터가 자체 발행한 ‘트위터 트렌드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NFT 마켓플레이스, 디앱, 토큰 이코노미, 탈중앙화 거래소 등 암호화폐 관련 토픽들의 트위터 내 언급량이 연간 2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팬토큰’ 키워드에 대한 트위터 언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994% 증가했으며, 수동적 수익(Passive income), NFT 콜라보레이션, 패션 및 수집품, NFT 아바타, 암호화폐 게임 등 토픽들의 트위터 언급량은 연간 3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서치 “블록체인 핀테크 시장, 향후 5년 연평균 26.89% 성장 전망”
비즈니스와이어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 리서치앤마켓이 최근 발표한 ‘핀테크 블록체인 마켓-성장, 트렌드, COVID19 영향 및 전망(2022-2027)’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핀테크 시장은 2027년까지 연평균 26.89%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해당 보고서는 “증가하는 암호화폐 시가총액, ICO, 분산원장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투자·상업 은행들의 블록체인 솔루션 채택 등은 블록체인 시장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고객 맞춤형 디지털 경험과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이 증가하면서 금융 서비스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판테라캐피탈, 블록체인 펀드 목표 조달액 10억 달러로 상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블록웍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 전문 헤지펀드 판테라 캐피탈(Pantera Capital)의 댄 모어헤드(Dan Morehead)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인베스터 콜에서 “판테라 캐피탈의 블록체인 투자 펀드의 목표 조달액을 10억 달러로 상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이날 “블록체인 펀드는 올 4월 신규 투자자 모집을 마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판테라는 5월 블록체인 투자 펀드 출범을 위해 6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해당 펀드는 적격 투자자에 한해 참여 가능하며, 최소 투자액은 100만 달러다. 또 해당 펀드 자산의 약 40%는 벤처캐피탈로 할당되며, 30%는 초기 단계(early-stage) 토큰에, 나머지 30%는 유동성 토큰(liquid tokens)에 할당된다.
폴리곤 “PoS 체인 가동 재개…텐더민트 관련 핫픽스 진행”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폴리곤(MATIC)이 방금 전 공식 트위터를 통해 “텐더민트 구현 문제로 11일 2시 50분 경부터 일시 중단된 폴리곤 PoS 체인이 다시 가동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폴리곤 팀은 “해당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임시 핫픽스를 배포했으며, 모든 사용자 자금은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폴리곤 PoS 체인은 사이드체인을 활용해 거래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레이어2 확장성 개선 솔루션으로, 텐더민트 컨센서스 검증 레이어와 플라즈마 사이드체인으로 구성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MATIC은 현재 3.14% 내린 1.4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신세틱스, 연쇄 강제청산 막는 시스템 업데이트 예정
합성자산 프로토콜 신세틱스가 가격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연쇄 강제청산을 막는 시스템을 2주 뒤 업데이트한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새로운 청산 메커니즘에서 스테이커의 담보비율이 20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24시간 내에 스테이커가 담보비율(C-Ratio)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C-Ratio를 높이려면 sUSD를 소각해야 한다.
-담보비율 24시간 동안 200% 하회, 셀프 청산하지 않을 경우: 청산 후 스테이킹한 SNX의 30% 페널티로 부과(다른 스테이커에게 분배)
-담보비율 24시간 동안 200% 하회, 셀프 청산할 경우: 스테이킹한 SNX의 20% 페널티로 부과(다른 스테이커에게 분배)
-담보비율 200% 상회: 청산되지 않음
FTX.US, 美 CFTC에 ‘파생상품 청산소’ 라이선스 신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미국 자회사인 FTX.US가 최근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에 ‘파생상품 청산소’ 라이선스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FTX.US 측은 “라이선스가 승인되면 FTX.US는 고객들의 파생상품 거래를 직접 청산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파생상품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FTC는 FTX.US의 라이선스 신청을 접수했으며 4월 11일까지 대중들의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프린스턴대학, 블록체인 활용 사회권력 분산 연구 시작.. 2000만달러 모금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사회 권력 분산을 연구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이와 관련 프린스턴은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의 Peter Bridger,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 조셉 루빈, 판테라 캐피털 CEO 대니얼 모어헤드, 갤럭시 디지털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로부터 2000만달러를 기부 받았다. 프린스턴 엔지니어링, 응용과학 대학이 이 이니셔티브를 맡는다. Jaswinder Pal Singh 교수는 “비트코인이 서로를 신뢰하지 않는 환경에서 합의를 달성하는 방법을 대부분 해결했다. 탈중앙화는 사회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프린스턴 블록체인 소사이어티(Blockchain Society)는 3월 초 메타버스, NFT 프로젝트 Radio Caca (RACA)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체이널리시스, 제재 대상 암호화폐 지갑 식별 툴 무료 배포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가 10일 제재 대상 암호화폐 지갑을 식별할 수 있는 새로운 툴을 무료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러시아가 제재 회피를 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툴을 무료 배포한다는 설명이다. 이 툴을 사용하면 디파이 플랫폼, 디앱에서 암호화폐 주소가 제재 대상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쉽게 검증할 수 있다고 체이널리시스는 전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 “BTC, 세계 유일 희소자원…계속 매입할 것”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대규모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미 증시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클 세일러가 최근 PBD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비트코인은 세계 유일의 진짜 ‘희소성'”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는 “비트코인은 자산, 금, 상품이 아닌 최고의 가치저장수단이다. 단기간의 하방 압력은 받을 수 있지만, 디지털 자산을 계속 구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마이클 세일러는 1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전쟁은 비트코인 보급화를 촉진시킬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지난 2월 14일 기준 약 125,051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단가는 37,865 달러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6.76% 내린 39,052.2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코넬대 경제학 교수 “바이든 행정명령, 암호화폐 산업에 호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미국 코넬대학교 경제학 교수 에스워 프라사드(Eswar Prasad)가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암호화폐 행정명령은 암호화폐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이런 종류의 규제는 궁극적으로 암호화폐 업계에 ‘적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오늘날 암호화폐 업계의 모든 영역은 개척 시대의 서부 지역과 같아 확실한 규제가 필요하다. 행정명령의 이면에 있는 정부의 의도는 암호화폐와 같은 다양한 자산과 기술의 기능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를 규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규제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미국 상원의원, 신규 제안한 법안에 채굴, 스테이킹 자본이득세 과세 제외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is) 미국 상원의원이 암호화폐 채굴, 스테이킹, 지불과 관련 자본이득세 과세를 제외하는 내용의 금융 혁신법(Responsible Financial Innovation Act) 법안을 공개했다고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루미스 의원의 정책 이사인 타일러 린드홈(Tyler Lindholm)은 “해당 법안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암호화폐 채굴, 스테이킹, 지불과 관련된 자본이득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디지털 자산을 과세 시스템에 편입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채굴, 스테이킹 같은 ‘생산적인’ 활동에 자본이득세를 부과하지 않고, 결제 관련 최대 600달러 세금공제를 제공해 커피 등 일상 암호화폐 결제에 대한 세금 청구서를 받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3월 15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15 |
---|---|
[신문] 2022년 3월 1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1) | 2022.03.14 |
[신문] 2022년 3월 12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12 |
[신문] 2022년 3월 11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3.11 |
제 20대 대통령 '윤석열'의 주요 가상자산, 주식 공약 (1) | 2022.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