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뉴스

[신문] 2022년 3월 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by 정보마니아 2022. 3. 4.
728x90

3월 4일

가상자산 뉴스


 

제롬 파월 “3월 금리인상 적절”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이 이달 기준금리 인상이 여전히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파월은 “기준금리 인상폭 25bp(1bp=0.01%포인트) 수준이 적절해 보인다. 3월에 대차대조표 축소 계획에 진전이 있기를 바란다.  만약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 된다면 여러번의 회의를 통해 50bp까지 인상할 준비를 할 것이다”고 전했다. 이라고 덧붙였다.

 

 

찰스 슈왑, SEC에 크립토 이코노미 ETF 출시 신청서 제출
미국 대형 증권사 찰스 슈왑(Charles Schwab)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크립토 이코노미 ETF 출시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슈왑이 출시하려는 펀드는 슈왑 암호화폐 이코노미 지수의 수익 등을 추종하며,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하지는 않는다. 승인 절차가 완료되면 뉴욕증권거래소(NYSE) 산하 NYSE 아르카(NYSE Arca) 거래소에 상장 될 예정이다.

 

 

피터 브랜트, 비트코인 장기 보유 선호하지 않는다”
미국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장기보유(호들링)을 선호하지 않는다. 비트코인은 11년간 4차례의 80% 하락을 겪었다.  전고점 회복을 위해서는 400% 상승이 필요했다”고 전했다.  브랜트는 또한 “비트코인은 위대한 투자이지, 종교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더스캔 “우크라 WORLD 에어드랍 컨트랙트, 사기·피싱 취약”
외신에 따르면 이더리움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이더스캔이 우크라이나 정부의 WORLD 토큰 에어드랍 컨트랙트를 의심스러운 컨트랙트라고 진단했다. 이더스캔은 “해당 토큰은 잘 알려진 컨트랙트에서 보낸 것처럼 믿게 만들며 사기나 피싱에 취약하다”고 명시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코인데스크를 인용, 우크라이나 정부의 공식 암호화폐 기부 월렛이 적격 대상자에게 WORLD 토큰 에어드랍을 시작했다고 전한 바 있다.

 

 

中 금융당국 “전세계에서 중국 BTC 거래량 비중, 90%→10% 급감”
외신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 금융안정국이 “암호화폐 과대광고를 제재한 이후 중국 내 비트코인 거래량이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0%에서 10%로 급감했다”고 전했다.

 

 

분석 “BTC 변동성 확대 中”
크립토퀀트 기고자 ‘elcryptotavo’가 BTC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1. 비트코인 거래당 평균 수수료의 평균이 급등
2. 스테이블코인이 지속적으로 발행되고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횡보 중
3. 미결제 약정이 빠르게 증가 중이며 펀딩비는 음수(-)로 전환
4. 거의 모든 지갑들이 축적 중
5. 새로운 UTXO들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단기 투자자들은 이득을 보며 매도 중

 

 

“NFT도 디지털자산”…금융위 산하에 전담기구 설치 법안 발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대체불가능토큰(NFT)을 디지털자산으로 규정하고 가상자산 전담기구를 금융위원회 산하에 설치하는 내용 등을 담은 ‘디지털자산거래법’ 제정안이 새로 발의된다. 더불어민주당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의원은 3일 코인데스크 코리아 인터뷰에서 법안에 대해 “지난해까지 국회에는 디지털자산과 관련한 13개 법안이 발의돼 있지만 증권거래법처럼 디지털자산 시장 전체에 대한 규정과 관리·발전 방안은 미흡해 새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말했다. 민 의원이 인터뷰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법안 내용을 보면, 법안 2조 ‘정의’ 조항에 NFT가 포함됐다. 2조 1항은 “’디지털자산’이란 블록체인기술 등의 상호 신뢰할 수 있는 보안 및 암호 체계를 통해 생성돼 (…) 저장, 활용되는 저작물과 가상자산, NFT 등을 망라한다”고 규정했다.

 

 

바이낸스 CEO “러시아 제재, 국제 규정 따를 것”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바이낸스는 러시아를 향한 국제사회의 제재 규정을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바이낸스는 세계적인 제재 전문가들로 구성된 컴플라이언스 워킹 그룹을 구성했으며, 러시아 제재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자오창펑은 트위터를 통해 “미디어들은 암호화폐 거래소가 러시아 일반인들을 제재하지 않고, 국제사회의 제재에 동참하지 않는다고 비난한다. 하지만 팩트는 은행도 제재 규정을 따르고, 암호화폐 거래소(최소한 바이낸스)도 제재 규정을 따른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비트, 러시아 관련 IP 출금 제한…제재 동참
업비트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러시아 관련 IP 사용자의 출금을 제한한다고 공지했다. 이와 관련 업비트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가이드 라인과 금융위원회 고시 ‘자금세탁방지 및 공중협박자금조달금지에 관한 업무규정 제29조’에 근거, 자금세탁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고위험 국가(미국 재무부의 OFAC Sanction list, FATF 지정 고위험국가, UN 제재 국가 등을 참고) 회원의 가입을 이미 차단 조치 중이었다. 업비트에는 러시아 국적 회원이 존재하지 않으며, 향후 러시아 IP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출금이 제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어나니머스 “탱크 1대당 러시아군에 5.2만달러 비트코인 지급”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국제해커조직 어나니머스는 러시아 군인이 그들의 탱크를 기부할 시 1대당 52000달러 상당 비트코인을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나니머스는 “죽지 않고 가족, 아이들과 함께 살고 싶어하는 러시아 군인들을 위해 글로벌 어나니머스 커뮤니티는 1,225,043루블 상당 비트코인을 모금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에 우크라이나 농부들이 러시아 탱크를 훔치기도 했다. 어나니머스는 앞서 러시아를 대상으로 수차례 사이버 공격을 진행, 이틀 만에 10억루블(1000만달러) 이상을 수금했다. 2월 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선전포고, 푸틴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감행할 시 전례 없는 사이버 공격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었다.

 

 

2월 NFT 구매자, 80만명 밑돌아.. 작년 10월 이후 처음
2월 NFT 구매자 수가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80만명을 밑돌았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크립토슬램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했다. 2월 NFT 구매자 796,009명은 1월에 비해 12% 감소했다. 2월 NFT 판매량은 전월비 40% 감소한 약 26억달러를 나타냈다. 구글 트렌드 NFT 글로벌 키워드 검색량도 크게 감소했다. 지난 한 주 동안 검색량은 1/23~1/29 대비 60~70% 급감했다. 미디어는 오픈씨 피싱 공격 이슈가 있었지만, 지난 한달간 대중의 관심이 급격히 감소한 구체적인 이유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밥 딜런·마일즈 데이비스 음원, NFT로 나온다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따르면 ‘록의 전설’ 밥 딜런, ‘재즈의 황제’ 마일즈 데이비스의 명곡 음원들이 대체불가능토큰(NFT)으로 다시 태어난다. 대형 엔터테인먼트 기업 소니뮤직과 유니버설뮤직그룹(UMG)이 솔라나 기반의 NFT 플랫폼 스노우크래시(Snowcrash)와 손잡고 올 하반기에 밥 딜런과 마일즈 데이비스의 명곡 음원들을 NFT로 출시할 계획이다. 스노우크래시는 밥 딜런과 아들 제시 딜런(Jesse Dylan)이 공동 설립한 NFT 거래 플랫폼이다. 뮤직비즈니스월드와이드(musicbusinesswirldwide.com)도 2일 “소니뮤직과 UMG가 공동으로 밥 딜런의 음반 저작권에 5억달러(약 60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전했다. UMG는 이미 지난 달 “NFT 플랫폼 쿠리오(Curio)와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 리한나(Rihanna), 아리아나 그란데(Ariana Grande) 등 우리 아티스트들의 NFT 상품 출시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크립토퀀트 CEO “BTC 투자자 매집 단계 시작됐다”
주기영 크립토퀀트 CEO가 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본격적인 매집(축적) 단계가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지난해 BTC를 구매한 뉴비들이 장기 보유자로 진화하고 있다. 6개월 이상 이체되지 않은 BTC 물량은 현재 전체 유통량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상승 주기 최상단에서 해당 비율은 13%에 불과했다. 시장에 진입한 뉴비들은 다음 사이클의 뉴비들을 기다릴 것이기 때문에 BTC가 이전 저점인 28,000 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94% 내린 43,545.0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재무부, ‘암호화폐 포함 러시아 법인과 거래 금지’ 2021년 행정명령 시행
미국 재무부(U.S. DEPARTMENT OF THE TREASURY)가 2일(현지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러시아 제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러시아 법인과의 거래 금지’ 행정명령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발표된 해당 행정명령은 러시아 연방 정부의 유해한 특정 해외 활동과 관련된 재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금지 대상 활동 목록에는 디지털 화폐나 물리적 자산을 포함한 미국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한 기만적 거래나 행위가 포함됐다. 명령 집행을 위해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러시아 유해 해외 활동 제재 규정을 발표했으며, 재무부 공식 웹사이트에 이를 게재했다. 지침에 따르면, 미국인 및 미국 기업은 당국의 허가나 별도의 승인이 없는 한 러시아 법인으로의 자산 이전 또는 해당 법인을 대신해 진행하는 외환 거래 등이 금지된다. 이와 관련 OFAC 측은 “지금의 규정은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축약’됐기 때문에 향후 규정을 보완하고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금융감독국, 러 제재 관련 암호화폐 거래 모니터링 툴 모색
더블록에 따르면 캐시 호컬(Kathy Hochul) 뉴욕 주지사는 오늘 뉴욕금융서비스국(NYDFS)의 암호화폐 기업-러시아 제재 대상 간 거래 식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했다. NYDFS는 “우크라이나를 보호하기 위해 다른 주, 연방 규제기관, 규제 대상 암호화폐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암호화폐를 통해 제재를 회피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관련 거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성명에서 밝혔다. 이와 관련 NYDFS는 블록체인 분석 툴, 관련 서비스사와의 계약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다.

 

 

뫼비우스 캐피털 설립자 “내가 러시아인이라면 비트코인 매수”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뫼비우스 캐피털 파트너스 설립자 마크 뫼비우스는 화요일 CNBC 인터뷰에서 러-우크라 사태와 관련해 이런 환경에서 비트코인을 살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구매하지 않을 것이지만, 내가 러시아인이었다면 매수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러시아에서 돈을 빼내기 위한 수단이다. 이는 비트코인 강세의 이유”라고 말했다. 뫼비우스는 오랫동안 비트코인 회의론자였다. 지난해 11월 그는 암호화폐를 투자수단으로 보지 말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미 여성 92% “암호화폐 안다.. 24%는 보유 중”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는 “암호화폐에 대한 여성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했지만, 관련 지식 격차는 여전히 크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8~65세 미국 여성 1031명을 대상으로한 이 서베이에서 92%가 암호화폐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24%가 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중 71%가 비트코인(BTC), 42%가 도지코인(DOGE), 18%가 이더리움(ETH)을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응답자의 80%는 암호화폐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고, 72%는 암호화폐 투자가 위험하다고 답했다.

 

 

빌보드, 유니버설 뮤직 그룹과 파트너십… 플로우 기반 NFT 출시 계획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빌보드가 유니버설 뮤직 그룹(Universal Music Group)과 파트너십을 체결, 플로우 블록체인 기반 NFT 프로젝트 차트스타(ChartStars)를 출시한다. 해당 컬렉션은 빌보드 차트의 업적 및 이정표를 기념하는 아티스트 중심의 디지털 아트워크로 구성된다. 뮤직비디오와 앨범 사진을 클립 영상으로 편집한 내용도 포함된다. 앞서 빌보드는 NFT 프로젝트 월드오브우먼(WoW)과 협업해 NFT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빌보드는 NFT 매거진 커버를 장식할 3명의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를 선정했다고 전했다.

 

 

빌 밀러 “BTC, 인플레이션 영향 받지 않는다”
비트코인 매거진 트위터 채널에 따르면 헤지펀드 밀러밸류파트너스(Miller Value Partners) 창업자 빌 밀러(Bill Miller)가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비트코인이 금융 위기에 대비한 보험 정책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美 10대 보험사, 메타버스에 웹3 랩스 연구개발시설 오픈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대표 보험 브로커이자 자산관리사인 IMA 파이낸셜 그룹(IMA Financial Group)이 메타버스에 웹3 랩스 연구개발 시설을 오픈한다. 향후 NFT 관련 보험상품을 판매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IMA 파이낸셜 그룹 마케팅 부사장인 저스틴 제이콥스(Justin Jacobs)는 “메타버스 진출은 NFT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결정됐다. 오늘날 NFT는 예술이자 스펙으로 간주되고 있다. 우리는 변곡점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며 “디파이 등 전 분야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이크 노보그라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금융 시스템 마비시 암호화폐가 대안”
갤럭시디지털의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대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암호화폐가 뜨고 달러화의 영향력이 떨어지고 있다.  러시아 루블화와 우크라이나 흐리브냐를 사용한 비트코인 거래량 급증은 전통 은행 시스템이 마비됐을 때 암호화폐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고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전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