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자산/☆ 뉴스

[신문] 2022년 4월 25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by 정보마니아 2022. 4. 25.
728x90

4월 25일

가상자산 뉴스


 

 

나이키, 첫 이더리움 NFT 메타버스 운동화 공개
나이키가 첫 메타버스 운동화인 이더리움 NFT 기반 RTFKT x Nike Dunk Genesis CryptoKicks를 공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나이키는 작년 12월 NFT 기업 RTFKT 스튜디오를 인수했고, 2019년 12월에는 디지털 자산을 실제 제품과 페어링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인 크립토킥스(CryptoKicks) 특허를 신청했다.  이번에 나이키는 메타버스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웨어러블 아이템을 출시한것이다.  RTFKT는 트위터에 관련 티저 영상을 공개했고, 이미 RTFKT x Nike Dunk Genesis CryptoKicks NFT 홀더들은 오픈씨에서 디지털 운동화를 판매 중이다.

 

 

SEC와 리플, 소송 관련 공동 일정 제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XRP)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 관련 공동 일정이 법원에 제출되었다고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이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제임스 K. 필란은 “소송 당사자들이 8월에 약식재판 및 엑스퍼트 챌린지(expert challenges)를 위한 준비서면(opening briefs)을, 크리스마스 며칠 전에 종결서면(closing briefs)을 제안하는 공동 일정 서신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또한 필란은 “리플이 이 일정에 동의한 이유를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한다. 내 직감으로는 당사자 간 트레이드오프가 있었다는 것이다. 원래는 준비서면 일정이 더 길었을 것. 리플이 현명한 결정을 내렸다고 본다”고 전했다.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으로 트위터 봇 제거” 제안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의 대표인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트위터 인수 성공 시 스팸 봇을 제거하겠다는 일론 머스크를 향해 “파란색 체크가 표시된 신원 인증 공인 계정은 취득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현재 36만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트위터는 3억 9천 6백만 주황색 체크가 필요하다.  소량 사토시(비트코인 최소 단위) 입금을 통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몇초안에 사람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인도 중앙은행, ‘암호화폐 거래소 지원’ 전자지갑 라이선스 거부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RBI)이 Zaakpay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지원한 전자지갑 서비스 모비크위크(MobiKwik)에 대한 라이선스 승인을 거부했다. 모비크위크는 이달초 거래소 서비스 지원을 중단했으며, 최소 6개 인도 거래소가 모비크위크 모바일결제시스템(UPI) 기능을 사용중이었다.

 

 

리플 법률고문 “SEC-리플 소송, 2023년 마무리 기대”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사 법률 고문 스튜어트 알더로티(Stuart Alderoty)가 트위터를 통해 “SEC-리플 소송이 2023년 마무리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소송을 지연시키고 있지만, 리플사는 최대한 빠른 사건 해결을 위해 노력중이며 법원 또한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SEC는 2020년 12월 소송을 제기한 이래 그들이 보호한다고 주장한 미국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SEC는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관할권이 없으며, 가능한 모든 전술을 동원해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디다스 오리지널, 28일 실물 제품 주문 기능 오픈
아디다스 오리지널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는 28일 자체 발행 NFT 컬렉션 아디다스 인투더메타버스(Into The Metaverse, 이하 ITM) 보유자 대상 실물 제품 주문(claim) 기능을 오픈할 예정”이라며 “주문에는 이더리움 가스비 외에는 비용이 들지 않는다”고 밝혔다.

 

 

외신 “사우디, 국가내 암호화폐·블록체인 구현 방안 검토 중”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암호화폐 활용 및 국가내 블록체인 기술 구현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기술부 장관 보조관 반다르 빈 압둘라 알 미샤리 왕자는 “정부 내 블록체인 구현을 논의한 웨비나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블록체인, 웹3, 암호화폐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인재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과 협력해 관련 커리큘럼 개설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샌드박스 “4/27 모든 랜드 폴리곤 마이그레이션”
더샌드박스(SAND)는 4월 27일 아직 업데이트되지 않은 모든 랜드의 폴리곤(MATIC) 마이그레이션을 강제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전날 밤 밝혔다. 현재 더샌드박스는 모든 랜드에 대한 새로운 스마트 컨트랙트로의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가스비가 저렴해질 전망이다.

 

 

코인베이스 CEO “애플, 암호화폐 잘 활용하지 못했다”
테크크런치(TechCrunch)에 따르면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최근 팟캐스트를 통해 애플 앱스토어 규칙이 자사 제품 로드맵을 방해했으며, 애플은 지금까지 암호화폐를 잘 활용하지 못했다고 평했다. 그는 애플이 코인베이스가 앱에 추가하고 싶은 많은 기능을 금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폰이 곧 암호화폐 관련 하드웨어 기능을 추가해야 할 수도 있다며 “추후 꽤 인기를 끌 수 있는 암호화폐 호환 휴대폰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셀시우스 네트워크 “CEL, 규제 리스크 직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대출기업 셀시우스 네트워크(Celsius Network)가 CEL이 규제 리스크에 직면해있다고 경고했다. 기업은 “다른 디지털자산과 마찬가지로 CEL 역시 프라이빗키 분실, 거래 취소 불가, 피싱 공격 등에 취약하다”며 “특히 최근에는 규제로 인한 리스크도 증가했다. 고수익을 내는 셀시우스 언 프로그램(Celsius Earn Program)의 경우 벤처캐피탈 투자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전했다. 앞서 4월 셀시우스 네트워크는 CEL의 리스크 목록에 ‘규제 리스크’를 추가한 바 있다.

 

 

크라켄 마케팅 이사 “BTC 초기 투자자는 운이 좋았다? 전혀 아니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 마케팅 이사인 댄 헬드(Dan Held)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호들링(존버)은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누군가는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들이 그저 운이 좋았던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는 헛소리다. 호들링은 매우 어렵다. 어느 누가 자신의 자산이 10~40배 상승한 다음 80% 하락하는 동안 팔지 않고 보유하고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덧붙였다.

 

 

미 재무부, 로닌 해킹 연관 ETH 주소 제재목록 추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로닌 해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3개의 이더리움 주소를 제재 목록에 추가했다. 지난주에도 OFAC는 로닌 해킹과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더리움 주소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한 바 있다. 미국 FBI와 OFAC는 최근 로닌 해킹 배후에 북한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 조직 라자루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마이클 세일러 “암호화폐 99%, 유가증권…BTC만 물리적 재산”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가 최근 인터뷰에서 “암호화폐의 99%는 유가증권이며, 오직 비트코인만이 물리적인 재산”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10억 달러를 뉴욕에서 도쿄로 옮기는 것뿐 아니라, 100년 뒤로도 옮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분석 “BTC 하락, 美 국채 수익률 급등 영향”
코인텔레그래프가 나스닥이 미 국채 수익률 급등에 2% 하락했으며, 비트코인이 증시 동조화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미디어는 또 “연준 대차대조표는 96억 달러 감소한 8조 9559억 달러로, 마침내 축소가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애널리스트들은 “거래량을 동반하지 않은 상승세는 유효성을 의심해야 한다. 비트코인은 지난 6개월간 저항 돌파에 실패한 바 있다”면서 “이더리움(ETH) 또한 3,000 달러선을 반납했으며, 2,600 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카르다노 설립자 “BTC, 소수 마이닝풀이 전체 네트워크 제어”
블록스트림 CEO 아담 백이 오늘 오전 트위터를 통해 “지분증명 합의 메커니즘은 금권주의”라고 주장했다. 이해관계자가 보유한 토큰 수에 따라 네트워크가 움직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카르다노(에이다) 설립자 찰스 호스킨슨은 답장에서 비트코인 마이닝 풀의 채굴 점유율 차트를 첨부, 소수의 마이닝풀이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또 다른 트윗에서 “뛰어난 장비 확산 및 고도로 전문화된 비즈니스 출현으로 개인 채굴자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피터 시프 “2월 이후 BTC 성적 금 보다 저조”
대표적인 비트코인 회의론자 피터 시프(Peter Schiff) 유로퍼시픽캐피털 CEO가 트위터를 통해 “지난 2월 10일 이후 비트코인 선물 기반 ETF(발키리 XBTO 비트코인 선물 펀드 ETF)는 35% 하락한 반면, GDX(금 채굴 기업을 모아둔 ETF)는 25%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유튜데이는 시프가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의 ‘대폭락(Carnage Indicator)’을 예고했다”고 해석했다.

 

 

자오창펑 “북한 해킹조직으로부터 580만달러 회수”
자오창펑 바이낸스 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북한 해킹조직 (DPRK)는 오늘 엑시인피니티(AXS) 탈취 자금을 이동시키기 시작했다. 일부는 바이낸스에 86개 이상 계정으로 전송됐다. 580만달러가 회수됐다. 우리는 과거 유사한 사례에서도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전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