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1일]
가상자산 주요 뉴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2.0% 돌파
미국 1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1월 대비 7.5%를 기록, 40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는 미국 노동부 발표 후 경기 투자심리 지표로 꼽히는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2.0%를 돌파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이는 2019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0%, 전월보다 0.6%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에너지, 식료품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이어졌다. 이날 발표는 인플레이션이 더욱 악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미국 언론들은 평가했다. 또한 코로나19 사태 이후 첫 금리인상 결정을 앞둔 미국 연준이 ‘상당한 수준’으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CNBC가 보도했다.
한국투자공사, 코인베이스에 투자
한국투자공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유 주식 현황 자료에서 지난해 4분기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주식 8700 주를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더그루 등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최근 코인베이스 주가를 반영하면 약 200만 달라 규로로 투자규모는 크지 않지만, 한국투자공사가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 투자한 첫 사례이다. 한국투자공사는 그동안 암호화폐 직접 투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었다. 작년 7월 취임한 진승호 한국투자공사 사장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투자와 관련해 “국부펀드가 투자할 만한 자산은 아니다”고 전한 바 있다.
맥도날드, 메타버스 상표 출원서 제출
맥도날드(McDonald’s)가 메타버스 관련 상표 출원서를 제출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미국 맥도날드와 파네라 브레드(Panera Bread)가 메타버스 관련 상표 출원서를 제출했다. 맥도날드는 총 10건의 상표를 출원했는데 실제 상품, 가상 상품의 판매 및 배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가상 레스토랑 운영 등 이다. 파네라 브레드는 가상 레스토랑과 NFT 및 메타버스 토큰 사용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 상표도 신청했다.
유튜브 “웹3·NFT, 잠재력 뛰어나다”
유튜브가 10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웹3 및 NFT에는 놀라운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유튜브는 올해의 신제품, 기능 등을 설명하는 보고서를 통해 “웹3는 크리에이터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준다. 유튜브는 블록체인 및 NFT 등 기술을 통해 크리에이터가 팬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새로운 기술에 책임감 있게 다가가기 위해선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다. 하지만 놀라운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분야”라고 평가했다. 앞서 수잔 보이치키 유튜브 CEO는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발송한 연례 서한에서 “컨텐츠 제작자들이 NFT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캐나다 하원의원,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촉구… 관련 법안 발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캐나다 하원의원 미셸 렘펠 가너(Michelle Rempel Garner)가 암호화폐 성장 장려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법안 명칭은 ‘암호화폐 성장 촉진법(Encouraging the Growth of the Cryptoasset Sector Act)이다. 미셸 렘펠 가너는 “암호화폐는 상당한 경제적, 혁신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워크를 통해 암호화폐 진입 장벽은 낮추고 투자자 보호는 강화해야 한다”며 “암호화폐 혁신 촉진을 목표로 하는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업계 전문가와 협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인도 중앙은행 총재 “암호화폐, 거시경제와 금융 안정성 위협”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 총재 샤크티칸타 다스(Shaktikanta Das)가 10일(현지시간) 암호화폐는 인도 거시경제 및 금융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가 금융 및 거시경제 안정성 문제를 처리하는 중앙은행의 능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며 “이러한 유형의 투자에는 근본적 가치가 없다. 암호화폐 투자자는 자신이 리스크를 감수하며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암호화폐에는 기본이 없고 튤립(17세기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튤립 파동)도 없다”고 강조했다.
미 뉴햄프셔주, 암호화폐 위원회 설립..규제 명확화 목표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뉴햄프셔주 주지사인 크리스 수누누(Chris Sununu)가 암호화폐 연구를 위한 새로운 위원회 설립을 요청했다. 크리스 수누누는 관련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암호화폐 납세 계획이 입법 등의 문제로 실현되지 못하는 것을 경험했다. 위원회는 뉴햄프셔가 새로운 환경에 맞는 포괄적이고 명확한 법안을 제정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위원회는 암호화폐 및 기타 디지털자산에 적용되는 현행 주 법률 및 규정의 역활과 효과, 그리고 수정되어야 하는 사안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NFT 플랫폼 이더니티, 2000만달러 시드 투자 유치
디크립트에 따르면 NFT 플랫폼 이더니티가 2000만달러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또한 유명인과 브랜드가 NFT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더널 랩스(Ethernal Labs)을 설립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리플, 폴리곤 스튜디오, 케네틱, 에릭 슈미츠 전 구글 CEO, 토마스 부 라이엇게임즈 프랜차이즈 개발 책임자 등이 참여했다.
바이낸스, 포브스 지분 2400억원어치 인수
바이낸스가 미 경제지 포브스 지분 2억달러(약 2400억원)어치를 인수한다고 CNBC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를 통해 바이낸스는 포브스의 2대 주주 중 하나가 되며, 패트릭 힐만(Patrick Hillmann) 바이낸스 최고커뮤니케이션책임자와 빌 친(Bill Chin) 바이낸스랩스 책임자가 포브스 이사회에 합류하게 된다. 해당 자금은 포브스가 1분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매그넘 오퍼스 애퀴지션과 합병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포브스는 합병을 통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FRBS’라는 티커로 상장될 예정이다.
러 당국, 3천억원 암호화폐 수익 거둔 다크넷 4곳 폐쇄
러시아 당국이 2.63억 달러(약 3147억원) 상당 암호화폐를 벌어들인 다크넷 4곳을 폐쇄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이용자들은 다크넷에서 불법 상품을 주로 BTC, LTC, ETH로 결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1월 러시아 당국은 유명 랜섬웨어 범죄단체 레빌(REvil)의 은신처를 급습해 55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와 현금을 압수한 바 있다.
트위터, 4Q 매출액 예상치 소폭 하회.. “40억달러 자사주 매입 계획”
트위터가 목요일 발표한 작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4분기 매출액이 15.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다만 예상치(15.8억 달러)를 소폭 하회했다. 다음 분기 예상 매출액은 11.7억~12.7억 달러로 내다봤다. 당기순이익은 1.82억 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일일 활성 사용자수(mDAU)는 2.17억명으로 이 역시 예상치(2.186억명)를 밑돌았다. 네드 시걸(Ned Segal) 트위터 CFO는 “내년 4분기 매출액이 최소 75억달러, mDAU는 3.15억명에 도달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트위터는 40억 달러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중 20억 달러는 투자은행에서 주식을 사들이는 ASR(accelerated share repurchase) 방식이다. 앞서 작년 11월 트위터는 암호화폐 전담팀 ‘트위터 크립토’를 출범한 데 이어 비트코인 팁(후원) 기능을 도입한 바 있다.
슬로우미스트 “디고파이낸스 해커, 770만 달러 탈취”
슬로우미스트에 따르면 오늘 해킹 당한 디파이 플랫폼 디고파이낸스(DEGO)의 공격자 주소(0x118…c91)는 바이낸스스마트체인(BSC)에서 240만 달러 이상 탈취했으며 이더리움과 크로노스에서 각각 490만 달러, 39.5만 달러를 탈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합치면 약 769.5만 달러 규모다. 앞서 코인니스는 디고파이낸스가 해킹에 노출돼 팀에서 제공한 DEGO 페어의 유동성이 고갈됐다고 전한 바 있다.
로빈후드 고위인사 “글로벌 확장 위해 암호화폐에 우선순위 둘 것”
스티븐 쿼크(Steve Quirk) 로빈후드 최고위탁매매책임자(CBO·Chief Brokerage Officer)가 수요일 CNBC와 인터뷰에서 “회사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암호화폐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로빈후드가 전세계로 진출하는 데 있어 가장 관심을 끌 수 있는 분야는 암호화폐일 것”이라며 “규제를 준수하면서 신규 암호화폐를 추가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작년 4분기 로빈후드의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기간 암호화폐 거래액은 4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당시 로빈후드는 “2022년 전세계에 암호화폐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공격적 목표로 세웠다”며 “우리는 암호화폐의 엄청난 잠재력을 믿는다”고 밝혔다.
‘리틀 버핏’ 빌 애크먼 “뉴욕 비트라이선스, 혁신 저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리틀 버핏으로 불리는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뉴욕의 비트라이선스 문제를) 당장 고쳐야 한다. 뉴욕은 암호화폐 혁신의 중심이다. 장벽을 허물고 성장과 혁신의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하며 에릭 아담스 신임 뉴욕 시장과 캐시 호출 주지사를 태그했다. 그의 발언은 한 암호화폐 벤처캐피탈 소유자가 뉴욕에 거주한다는 이유로 미국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의 계좌 개설이 불가능하다고 호소한 데 따른 것이다. 뉴욕금융서비스국(NYDFS)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상화폐를 받거나 보관, 송금, 교환, 판매, 관리하는 모든 사업자는 뉴욕주가 발행하는 비트라이선스를 받도록 요구하고 있다.
블룸버그 “이더리움, 1700달러까지 하락 가능성”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수석상품전략가 마이크 맥글론이 이끄는 블룸버그 인텔리전스가 2월 보고서에서 이더리움이 170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분석가들은 이더리움 마켓이 불마켓 끝자락 횡보(consolidation) 단계에 있다고 판단, 이더리움이 지난 여름의 패턴을 반복할 수 있다고 봤다. 다만 이더리움의 강세 펀더멘털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덧붙였다.
베이비도지, 메타버스 진출 가능성 시사
밈코인 프로젝트 베이비도지(BabyDoge)가 10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메타버스 진출을 암시하는 동영상을 게재했다. 해당 동영상과 함께 베이비도지 측은 “메타버스에서 베이비도지를 볼 수 있길 원하나?”라는 문장을 덧붙였다. 베이비도지의 메타버스 진출 가능성 시사는 앞서 메타버스 가상부동산 출시를 선언한 라이벌 밈코인 시바이누(SHIB)를 따른 행보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는 “베이비도지코인은 경주에서 뒤쳐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메타버스 진출 소식은 BabyDoge 코인 시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abyDoge는 현재 2.34% 내린 0.0000000039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 갤럭시 S22 사전 구매자 대상 쎄타 NFT 1종 제공
삼성전자가 갤럭시 S22 시리즈 사전 구매자를 대상으로 쎄타(THETA) NFT 1종을 무료 제공한다고 밝혔다. NFT를 받기 위해선 쎄타 계정 등록이 필요하다.
PwC “지난해 암호화폐 관련 M&A 규모, 전년 대비 약 5,000% 급증”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기업 PwC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암호화폐 산업 내 인수합병(M&A) 규모가 전년 대비 4,846%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암호화폐 관련 M&A의 딜 규모는 평균적으로 5,270만 달러에서 1억 7,970만 달러 사이였다. 일부 인수합병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에 의해 주도됐다. 암호화폐 자금 조달 규모는 전년 대비 645% 증가했다. M&A 딜 건수 기준 상위 5개 투자사는 AU21, 제네시스블록벤처스, 젠블록캐피탈, 코인베이스벤처, 문웨일 등이다.
분석 “BTC 채굴자, 새로운 불장 기다리는 중”
크립토퀀트 기고자 크립토선문(crypto sunmoon)가 9일 “비트코인 채굴자들이 새로운 불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크립토선문은 “2020년 12월 MVRV(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비트코인 시세와 평균 매수 가격의 비율) 지표가 3을 넘어섰을 때 채굴자들의 BTC 보유량은 급격히 감소했고, 채굴자발 출금량(Miner Outflow, 채굴자 주소에서 외부로 이체되는 물량)는 증가했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28,000 달러 수준이었다. 2021년 11월 비트코인이 전고점을 경신했을 때도 채굴자들은 매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비추어 봤을 때 채굴자들은 매도 시점으로 MVRV 지표를 참고할 가능성이 있다. 채굴자들은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이는 채굴자들이 새로운 불장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전 태국 중앙은행 이사 “3월 말 암호화폐 거품 걷힌다”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아누손 탐마자이(Anusorn Thammajai) 전 태국 중앙은행 이사가 금융시장 유동성이 떨어지는(양적완화 축소, 금리인상) 3월 말 암호화폐 거품이 걷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위험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2분기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암호화폐 거품의 첫 번째 물결이 이미 지나갔고, 다수 암호화폐가 올 들어 40% 이상 하락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암호화폐는 디지털 경제에서 금융 생태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지만 금융 시스템에 위험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외신 “세일즈포스, NFT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검토”
CNBC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 “미국 소재 기업용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세일즈포스(NYS:CRM)가 대체불가토큰(NFT)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계획을 직원들에게 밝혔다”고 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세일즈포스 최고경영자(CEO) 마크 베니오프와 브렛 타일러는 아티스트들이 콘텐츠를 제작해 오픈씨 등과 같은 NFT 마켓플레이스에 내놓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직원들에게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CNBC는 세일스포스가 NFT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잠재적으로 NFT 거래수단을 세일즈포스 생태계로 통합해 관리한다는 의미라면서 세일즈포스가 보유할 아켓플레이스를 이용할 경우 오픈씨는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BofA “비트코인, 금보다 주식과 훨씬 더 강한 동조화”
디크립트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최근 보고서에서 암호화폐는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보다는 위험자산처럼 거래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은 금보다 주식과 훨씬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 노트는 비트코인은 작년 7월부터 이미 위험자산으로 거래되고 있다며, 올해 1월 31일 기준 비트코인-S&P500, 비트코인-나스닥100(QQQ) 간 상관계수가 각각 역대 최고치와 99.73%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같은 시기 비트코인-금 상관계수는 거의 0에 수렴한다.
피치, 엘살바도르 국가 신용 등급 ‘정크’로 하향 조정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 평가사 피치(Fitch)가 9일(현지 시간) 엘살바도르의 국가 신용 등급을 ‘정크'(Junk) 등급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엘살바도르의 국가 신용 등급을 기존 B-에서 CCC로 하향 조정한 피치는 “내년 1월 엘살바도르는 8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채권을 상환해야 하지만, 최근 단기 부채에 대한 의존도 증가로 자금 조달 리스크가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또 피치는 “엘살바도르 정부의 제도는 약화되고 있고, 대통령에 집중된 권력은 정책의 불확실성을 가중시켰다. 또 비트코인 법정통화 채택은 2022-2023년 자금 조달을 위한 IMF 재정 지원 프로그램 채택 가능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자신의 휴대폰에서 공공 자금으로 비트코인을 거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엘살바도르 재무부 장관의 인터뷰를 인용, 오는 3월 15일~20일 사이 엘살바도르 정부가 10억 달러 규모의 10년 만기 BTC 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블룸버그 분석가 “증시가 바닥 쳐야, 비트코인도 바닥”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시니어 상품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이 바닥을 쳤는가? 만약 주식 시장이 바닥을 치지 않았다면, 비트코인도 그러할 것이다. 2022년 대부분의 자산은 2021년 과잉 공급에 따른 강력한 디플레이션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글로벌 디지털 담보 자산의 지위가 성숙해지면서, 앞으로 나갈 준비를 잘 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2월 1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14 |
---|---|
[신문] 2022년 2월 13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13 |
[신문] 2022년 2월 10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10 |
[신문] 2022년 2월 9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09 |
[신문] 2022년 2월 8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