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일
가상자산 뉴스
마이크 노보그라츠 “루나 문신 지우지 않는다… 겸손 상기”
갤럭시 디지털 대표인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공식 채널을 통해 “LUNA 문신을 지우지 않겠다. 문신이 투자에는 겸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상기시켜줄 것이다”고 전했다. 노보그라츠는 “투자자들은 항상 투자할때 중요한 원칙을 따라야 한다. 포토폴리오로 분산 투자하고, 수익이 났을때 실현을 하며, 위험관리 원칙을 가지고 따르며, 모든 투자는 더 큰 틀안에서 이루어진다는것을 알아야 한다. 갤럭시디지털은 루나 투자 관련 이러한 중요한 원칙들을 따랐다”고 전했다.
외신 “해시드, 루나 손실액 4조원대 추정”
국내 암호화폐 투자회사 해시드(Hashed)의 루나 손실액이 35억달러(4조 4730억원)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해시드가 콜럼버스3 메인넷에서 2700만 LUNA를, 콜럼버스4 메인넷에서 970만 LUNA를, 콜럼버스5 메인넷에서 1320만 LUNA를 스케이킹했다며 이같이 추측했다. 얼마전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루나가 폭락했지만 재무상황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메타, ‘메타페이’ 상표 출원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전 페이스북)가 최근 미국 특허청에 자체 개발 결제 플랫폼 ‘메타페이'(Meta Pay)의 상표 5종을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메타는 특허출원서에 “메타페이는 금융 거래, 디지털 화폐, 가상화폐, 암호화폐, 디지털 및 블록체인 자산, 디지털 토큰 및 암호화 토큰의 거래를 허용하는 투자자를 위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이다”고 설명했다.
NBA탑샷 누적 판매량 10억달러 돌파
크립토슬램에 따르면 유명 NFT 게임 NBA탑샷의 누적 판매량이 10억달러를 돌파했다. 거래건수는 2000만건을 돌파했다. 10억달러 누적 판매량을 달성한 NFT 프로젝트는 엑시인피니티(40.7억달러), 크립토펑크(22.4억달러), BAYC(21.2억달러), MAYC(15.2억달러), 아트블록(12.5억달러) 등이 있다.
스위스 5대은행 줄리어스 베어, 부유층 대상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준비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위스 5대 은행 중 하나인 줄리어스 베어(Julius Baer)가 부유층 고객 대상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 일환으로 암호화폐, 디파이, 블록체인에 대한 자체 연구를 진행하고 투자 및 거래 플랫폼 구축을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파일럿 프로그램은 암호화폐 관련 지식 테스트, 토큰 거래 및 규정 준수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앞서 2020년 줄리어스 베어는 스위스 소재 암호화폐 은행 세바(SEBA)와 파트너십을 체결, 디지털 자산 거래 및 위탁 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다.
3ac CEO “비트코인, 매집기 재진입”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쓰리애로우캐피탈(3ac) 공동 설립자 Zhu Su가 비트코인이 다시 매집기(accumul range)에 들어섰다고 진단했다. 그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사상 최초 7주 연속 음봉
-LFG(루나파운데이션가드)가 8만 BTC를 청산하고 비트코인이 $26000까지 떨어진 기간 동안 연간 최대 규모의 현물, 파생상품 거래량을 기록함
-낮은 수준의 메이어 멀티플(배수가 낮을수록 장기적인 매수 효과가 클 가능성이 높음)
-미국 거래시간보다 아시아 거래시간에서 강세
-캐나다 ETF로 7000 BTC 유입
-테더 퍼드
-비트파이넥스 롱 포지션 역대 최대
노무라 암호화폐 자회사 CEO “시총 상위 10개 암호화폐에 우선 집중”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노무라의 새 암호화폐 자회사 CEO Jez Mohideen은 시가총액 상위 10개 암호화폐에 우선 집중하고 이후 디파이, NFT 비즈니스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노무라가 암호화폐 자회사 설립을 준비 중이며, 아시아 고객 대상 비트코인 파생상품을 출시했다고 전한 바 있다.
미 CFTC 위원장, 비트코인 에너지 과소비 문제 지적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로스틴 베넘(Rostin Behnam) 위원장이 최근 “비트코인의 작업증명(PoW) 합의 알고리즘은 에너지를 과도하게 소비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CFTC는 암호화폐 업계가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합의 알고리즘인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트코인의 과도한 에너지 소비에 대한 우려가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점점 더 많은 개발자가 PoS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로스틴 베넘 CFTC 위원장이 암호화폐 관련 사기 및 조작 대응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한 바 있다.
리서치 “1분기 블록체인 스타트업 92억 달러 자금 조달…역대 최대”
미국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트(CB Insights)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세계 블록체인 스타트업이 약 92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그중 미국 블록체인 시장에서 58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가장 큰 점유율을 기록했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VC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461 건을 기록하며, 역대 최다 건수를 경신했다. 그중 1억 달러 이상의 투자 유치도 28 건을 나타냈다. 기업가치를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받은 소위 ‘유니콘’ 스타트업도 62 곳으로 증가했다. 한편, 1분기 가장 많은 투자를 집행한 VC는 애니모카브랜드로, 총 34 건의 투자를 단행했다. 이어서 코인베이스 벤처스가 30 건으로 2위, 판테라 캐피탈이 16 건으로 3위에 올랐다. 1분기 VC 투자금의 1/4은 NFT 업계로 집중됐으며, 디파이 업계도 전년 동기 대비 425% 증가한 21억 달러를 유치했다.
테라 하드포크 리빌딩 제안 투표, 찬성 87.28% 압도적 우세
도권(권도형) 테라폼랩스 CEO가 커뮤니티에 제안한 테라(루나, LUNA)의 하드포크 거버넌스 제안 #1623의 투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19일 기준 찬성표가 약 87.28%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우세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 제안이 최종 통과되면 기존 테라 네트워크는 테라클래식(토큰명 LUNC)로 재편성되며, 신규 테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LUNA 생태계가 블록높이 7,790,000(5월 27일 예상)에서 탄생한다. 현재 약 126,699,056 LUNA가 해당 거버넌스 제안의 투표에 참여 중이다.
트레저,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보안성 개선
암호화폐 하드월렛 제조사 트레저(Trezor) 개발사 사토시랩스가 18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최신 버전 펌웨어 업데이트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펌웨어 업데이트에서는 트레저 모델 원 및 트레저 모델 T 두 하드웨어 지갑 모델에 대한 보안 개선 사항이 포함돼 있으며, 사용자의 자금 안전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는 게 트레저 측의 설명이다. 또 이번 펌웨어 업데이트 후 트레저 모델 T는 카르다노(에이다, ADA)의 플루투스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한다.
라인게임즈, 너디스타에 투자…NFT 게임 개발 착수
19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라인게임즈가 최근 신생 블록체인 게임사인 ‘너디스타’에 투자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NFT 게임 개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이뉴스24가 단독 보도했다. 너디스타는 라인게임즈에서 사업실장을 지낸 허성욱 대표가 이끌고 있으며 엑소스 히어로즈를 만든 우주의 인력 일부가 투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라인게임즈는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의 NFT 플랫폼 자회사인 라인넥스트와 NFT 기반 게임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협력한다는 소식을 지난 2월 전한 바 있다. 당시 양사는 라인게임즈의 NFT 기반 게임을 라인넥스트의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에 제공하는 사업 모델을 구상하고 엑소스 히어로즈, 드래곤 플라이트 등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등 NFT 기반 게임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서클 부사장 “지난해 USDC 고객에 610억 달러 상환”
주앙 레지나토(Joao Reginatto) 서클 제품관리 부문 부사장이 최근 블록웍스가 주최한 퍼미션리스 패널 토론에 참석해 “서클은 지난해 610억 달러를 USDC 고객에게 상환했다. 또 지난주에는 테라(루나, LUNA)발 시장 혼란에 대응하기 위해 약 70억 달러 상당의 USDC를 상환했다”고 말했다. 서클은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의 모델은 완전한 담보 제공이다. 지루하지만 간단하다. 고객이 1 달러를 가져오면 우리는 1 USDC를 주고 1 달러를 보관한다. 반대의 경우에 우리는 USDC를 가져온 고객에게 1 달러를 돌려준다”고 덧붙였다.
미 CFTC 위원장 “암호화폐 사기·조작 대응 조치 강화할 것”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로스틴 베넘(Rostin Behnam) CFTC 위원장이 암호화폐 관련 사기 및 조작 대응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18일(현지시간) 체이널리시스 링크 컨퍼런스에 화상 형식으로 참석해 “최근 암호화폐 피싱 공격, 해킹 및 기타 사기 및 조작으로 인해 수천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자산 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해졌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원을 추가하고 노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그는 “CFTC가 암호화폐 상품 시장을 위한 규제 프레임 워크를 개발할 수 있도록 입법 권한 등을 계속 지원할 것” 이라고 밝힌 바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FO “BTC 매도 계획 없어”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앤드류 캉(Andrew Kang) 신임 CFO가 “암호화폐 시장 약세에도 비트코인(BTC)을 장기 보유하겠다는 회사의 전략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그는 회사가 비트코인을 추가 구매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지만 “현재로서 비트코인을 매도할 생각이 없다”며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주들 역시 우리와 같은 생각이며, BTC 가격 하락이 회사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지난 2일 기준 12만 9218 BTC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4.74% 내린 29,035.7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낮을수록 암호화폐 사용률 높아… 거시적 리스크 ↑”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보고서를 발표, 신용등급이 낮은 국가일수록 암호화폐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무디스는 “거시경제 프레임워크가 약하고 자본통제를 회피하는 국가의 암호화폐 사용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암호화폐의 급격한 확산은 결제 시스템의 분열로 이어질 수 있으며 금융 안정성 역시 약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CME “미연준 6월 기준금리 50bp 인상 확률 90% 이상”
미국 연방준비은행(Fed)이 올해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이 90% 이상이라고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가 발표했다.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미국 연방준비은행(Fed)이 올해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이 93.5%로 점쳐졌다. 또 6월 회의에서 미연준이 기준금리를 25bp 인상 가능성은 0%, 75bp 인상 가능성은 6.5%로 점쳐졌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5월 22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22 |
---|---|
[신문] 2022년 5월 21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22 |
[신문] 2022년 5월 19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9 |
[신문] 2022년 5월 18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8 |
[신문] 2022년 5월 17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