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4일
가상자산 뉴스
'
테더 CTO “기업어음 줄이고 미국 국채 보유 늘렸다”
파울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 테더(USDT) CTO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지난 6개월간 기업어음에 대한 노출을 줄이고 있으며, 현재 준비금 대부분을 미국 국채로 보유하고 있다. 이번달 말 세부 수치 업데이트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말 기준 테더는 총 보유 자산이 약 786억 8,000만 달러 규모라고 보고했다. 테더는 현금 및 은행 예금을 약 41억 8,700만 달러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어음은 241억 6,000만 달러, MMF에 할당된 자금은 30억 달러, 미국 단기 국채인 ‘T-Bill’ 보유량은 345억 2,000만 달러를 나타냈다.
루나 폭탄에 국내서만 최소 20만명 물려
지난 일주일간 99.99% 하락하며 전세계 코인 시장에 충격을 안긴 코인 ‘루나’의 국내투자자가 최소 2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매일경제가 전했다. 이는 루나를 국내 코인 거래소에 보관한 투자자만 포함한 수치다. 투자자 1인당 입은 손실액 규모는 추산되지 않았지만 최근 일주일 새 루나 가격이 99% 폭락한 것을 감안하면 1인당 손실액은 상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테더 CTO “UST, 너무 빠른 성장이 독…유틸리티 부족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테더(USDT)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가 12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UST는 암호화폐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상환이 이뤄질 수 있는 구조였으며, 지나치게 빠른 성장이 오히려 실수를 자처하게 만들었다”고 진단했다. 또 그는 “UST의 유틸리티는 이자 농사에만 국한되었으며, 실제 결제나 거래에는 사용되는 사례가 극히 적었다. 반면, 테더는 생활 필수품부터 실제 구매 활동이 쓰이며, 수 많은 유틸리티가 있다”고 말했다.
영국 힙합 가수 KSI “LUNA 산지 하루 만에 40억 날렸다”
영국 출신 유튜버 겸 힙합 가수 KSI(JJ 올라툰지)가 1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LUNA에 투자한 300만 달러가 목요일 하루 만에 1,000 달러 미만으로 변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지금까지 암호화폐 투자로 최소 790만 달러(약 101억원)를 잃었으며, 도박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치료사를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탈릭,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에 400만 달러 상당 USDC 기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최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 400만 달러 상당의 USD코인(USDC)를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은 뉴사우스웨일스 대학 연구진의 오픈소스 데이터 기반 전염병 팬데믹 감지 도구 개발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비탈릭은 “공개 데이터 및 공개 분석은 정부나 데이터 기업 고객들에게만 제공되는 비공개 데이터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오픈소스 기술은 새로운 전염병을 보다 빨리 감지해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울 수 있게 만든다”고 말했다.
애니모카브랜드, 2분기 연속 블록체인 기업 투자 1위
CB인사이트의 2022년 1분기 블록체인 업계 보고서에 따르면 애니모카 브랜드가 직전분기에 이어 가장 많이 투자를 집행한 블록체인 투자사로 꼽혔다. 지난 1분기 애니모카 브랜드는 34회 투자를 집행했다. 코인베이스 벤처스가 30회로 2위, 판테라 캐피탈이 16회로 3위를 차지했다.
테라개발자연합, 커뮤니티에 신규 LUNA 토큰 발행 제안
테라개발자연합(Terra Builders Alliance)이 12일(현지시간) 테라(루나, LUNA) 커뮤니티에 신규 LUNA 토큰 발행을 포함한 테라 프로젝트의 리빌딩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 테라개발자연합은 “테라의 스테이블코인인 UST가 단기간 내 신뢰를 회복하긴 어렵겠지만, 테라의 풍부한 개발 자원과 사용자 생태계는 보존할 가치가 있다. 기존 UST 보유자, 충성도 높은 LUNA 보유자 및 개발자들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테라 프로젝트 출범을 제안한다. 신규 LUNA 토큰은 UST 디페깅 공격 발생 시점인 10일 00시 기준 기존 LUNA 스테이커에게 40%, 공격과 네트워크 중단 사이 LUNA 보유자에게 10%, 생태계 개발자에 10% 할당하는 것을 제안하며, 커뮤니티 내 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이를 결정할 것”이라며 “UST가 새로운 네트워크가 출시되고 LUNA와 교환되면 담보 자산 형태로 다시 구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저자 “BTC, 1.7만 달러에 추매할 것”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베스트셀러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12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가격이 17,000 달러 바닥을 테스트할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트코인 폭락은 좋은 소식이다. 앞서 나는 비트코인 가격이 20,000 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추가 매수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금 17,000 달러 바닥 테스트를 기다리고 있으며, 이때 추가 매수를 할 예정이다. 급락은 부자가 되기 가장 좋은 때”라고 설명했다. 앞서 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재닛 옐련 미국 재무장관, 제롬 파월 미연준 의장이 미국을 이끄는 이상 비트코인이 승리할 수 밖에 없다”며 BTC 강세를 전망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18% 내린 29,262.2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최근 이더리움 가스비 급등, 스테이블코인 거래 급증 탓”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가 이더스캔의 데이터를 인용 “최근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가스비 급등은 스테이블코인 온체인 거래의 급증 탓”이라고 13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이더리움 가스비는 지난 10일부터 11일(현지시간)까지 두 배 이상 급등했고, 이에 추가로 두 배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원인은 중앙화 스테이블코인 USDT 및 USDC 주소 관련 이체량 급증이다. USDT 거래는 지난 24시간 가장 많은 가스비를 발생시켰으며, 유니스왑, 1INCH 등 DEX를 넘어섰다. USDC로 인한 가스비 소비량은 4위를 기록했다. 실제로 전날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는 약 220억 달러 상당의 USDT가 이체됐다. 이는 2021년 5월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거래량 증가가 단순한 USDT의 수요 증가로 해석되진 않는다. 코인마켓캡 기준 USDT 시총은 지난 24시간 약 2% 감소하기도 했다. 지난해 대다수 기간 NFT 마켓플레이스가 가스비 소비량의 2위 이상을 지속적으로 기록했지만, 최근 스테이블코인 거래에 밀렸다는 점은 주목할만 하다”고 설명했다.
캐나다 유력 총리 후보 “선출 시 CBDC 금지”
비트코인 매거진 트위터 채널에 따르면 캐나다 보수당 소속 총리 후보인 피에르 푸알리에(Pierre Poilievre)가 “총리로 선출된다면 CBDC를 금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암호화폐는 인플레이션을 막일 수 있는 견고한 방어책이며, 이는 국가들이 수 개월동안 경험해 온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빌 밀러 “마진콜 회피 현금 조달 위해 일부 BTC 매각”
헤지펀드 밀러밸류파트너스(Miller Value Partners) 창업자 빌 밀러(Bill Miller)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마진콜 회피를 위해 보유 비트코인 중 일부를 매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200~300 달러 가격대에 처음 암호화폐를 매입했다. 그리고 80% 이상의 하락세를 적어도 세 번 경험했다. 나는 재정적 재앙을 대비하기 위한 보험책으로 이것을 보유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이 지금 가격에서 다시 절반으로 줄어든다면 당혹스럽긴 할 것이다. 하지만 놀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美 SEC 위원 “스테이블코인, 시행착오 필요”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크립토맘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SEC 위원이 한 온라인 패널 토론에 참석, “이번주 스테이블코인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스테이블코인이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은 충분하다”며 “스테이블코인 접근을 위한 다양한 잠재적 옵션이 있다. 우리는 테스트 과정 중 실패할 여지를 허용해야 한다. 시행착오를 거칠 수 있도록 규제 프레임워크의 여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독일 암호화폐 과세 지침 발표, 1년 이상 보유 후 매도시 세금 면제
독일 재무부가 1년 이상 보유한 암호화폐를 매매할 경우 세금을 면제하기로 했다고 블록웍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최근 공개된 암호화폐 과세 지침에는 암호화폐 거래, 채굴, 스테이킹, 대출, 하드포크, 에어드랍 관련 구체적인 규정이 담겼는데, 독일은 암호화폐 스테이킹/렌딩 면세 판매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한다. 에어드랍과 관련해서는 수령인이 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미상장 코인 보유자는 납세 의무가 없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5월 16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6 |
---|---|
[신문] 2022년 5월 15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5 |
[신문] 2022년 5월 13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3 |
[신문] 2022년 5월 12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2 |
[신문] 2022년 5월 11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