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7일
가상자산 뉴스
명품 브랜드 구찌, 이번달 내 일부 북미 매장서 암호화폐 결제 시작 예정
명품 브랜드 구찌(Gucci)가 이번달 내 일부 북미 매장에서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시작 할 예정이라고 크립토닷컴 등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구찌는 금년까지 모든 북미 소재 매장에서 암호화폐 결제를 허용할 계획이다. 구찌는 이달 말 일부 매장 내 암호화폐 결제를 도입할 예정으로, 뉴욕 (우스터), 로스엔젤리스(로데오), 마이애미(디자인 디스트릭트), 아틀란타 (핍스 플라자), 라스베가스(크리스탈 샵스) 구찌 매장들에서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하는 암호화폐는 BTC, BCH, ETH, WBTC, LTC, DOGE, SHIB 및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GUSD, USDC, USDP, DAI, BSUD 이다.
미 SEC, 발키리 BTC 선물 ETF 출시 승인… 33년도 법 기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발키리 인베스트먼트(Valkyrie Investments)의 비트코인 선물 기반 ETF(발키리 XBTO 비트코인 선물 펀드 ETF) 출시를 승인했다. 발키리는 40년도 법(1940년 제정된 투자회사법)이 아닌 33년도 법(1933년 제정된 증권법)을 기준으로 해당 제안서를 제출 및 통과했다. 최근 승인 받은 테우크리움(Teucrium)의 비트코인 선물 ETF 역시 33년도 법을 기준으로 통과됐다. 당시 다수의 미디어는 “33년도 법이 대다수 현물 기반 비트코인 ETF의 기준과 겹치는 부분이 존재한다”며 “현물 기반 비트코인 ETF 출시를 향한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중국계 채굴기 제조사 카나안, SEC 조사 대상 중국기업에 추가… 상장폐지 위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중국계 채굴기 제조사 카나안(CANAAN)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사 대상 중국 기업 목록에 추가됐다. SEC는 외국기업책임법(HFCAA)을 근거로 미국 증시 상장사를 관리해왔다. HFCAA는 회계 기준을 3년 연속 충족 시키지 못한 외국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도록 규정한다. 목표는 외국 정부가 컨트롤하는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카나안은 5월 25일까지 SEC에 서류를 제출, 중국 정부가 소유하거나 컨트롤 하고 있지않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카나안 측은 “중국 및 미국의 법률 규정을 준수하고 나스닥 상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서치 “솔라나 네트워크와 문버드, 4월 NFT 거래량 증가 견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댑레이더가 월간 보고서를 통해 “4월 NFT 시장의 거래량 증가는 NFT 프로젝트 문버드와 솔라나(SOL) 네트워크가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4월 NFT 시장 내 거래량은 약 65억 달러를 기록, 역대 최고 수치를 경신했다. 이는 3월 대비 23% 증가한 수준이며, 역사상 세 번째로 60억 달러를 상회한 것”이라며 “문버드는 NFT 거래량은 4월 약 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솔라나 체인 내 NFT 거래량은 전월 대비 91% 증가한 약 3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체이널리시스 “올들어 NFT 시장으로 370억 달러 자금 유입”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5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들어 NFT 시장에는 약 370억 달러 상당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지난해 시장에 유입된 자금이 총 400억 달러임을 감안할 때 확실히 빠른 속도”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2021년 여름부터 NFT 거래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올 2월부터 현저하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다시 4월 중순부터 시장이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NFT 거래자 수는 지속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보고서는 “세계 최대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에 등록된 NFT 컬렉션 수는 2021년 3월부터 지속 증가해 현재 4,000 종 이상을 기록 중이다. 다만, 기관 규모의 NFT 거래는 뚜렷한 성장세를 찾기 힘들었다. 2021년 11월 말부터 2022년 2월 중순까지 기관 투자자들의 NFT 구매는 매 주 증가 추세를 나타냈지만, 이후 급격히 감소하며 최근 기관 투자자들의 NFT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시장이 조용했던 지난해 겨울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신 “EU, NFT 발행 관련 규제 강화 움직임…등록 의무화 가능성”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유럽연합(EU) 이사회가 NFT 발행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EU의 암호화폐 규제안인 MiCA에 NFT 발행 관련 규제 내용이 포함된다면, NFT 발행자들은 현지 규제기관에 의무적으로 등록돼야 하며, 발행자가 법인으로 제한될 수 있다”고 5일 보도했다. 실제로 코인데스크가 입수한 EU 이사회 비공개 회의 전 프랑스 정부가 작성한 문서에는 “각국 정부는 NFT가 MiCA 법에서 완전히 제외되기를 원하는 반면, 유럽의회는 NFT가 자금 세탁에 악용되는 것을 우려하며 규제 강화를 원하고 있다. 의회의 입장이 반영된다면, 향후 유럽 내 NFT 발행인은 탈중앙화 기관이 아닌 현지 법인으로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현지법에 따른 소비자 보호 규정을 따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NFT 관련 규제가 MiCA 내용이 담긴다면, 기존 암호화폐 및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를 넘어 예술, 엔터테인먼트, 게임 분야까지 규제 범위가 상당히 확대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글로벌 보안업체 브링크스,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메타코와 파트너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보안업체 브링크스(Brink’s)가 최근 스위스 소재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메타코(Metaco)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메타코 측은 “고객을 대신해 수십억 달러의 자산을 보관 및 투자하는 기관은 암호화폐 월렛의 백업 마스터키를 분할, 여러 스마트 카드에 저장한다. 브링크스는 전 세계에 안전한 보관 장소를 갖고 있으며, 브링크스의 금고에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보다 안전하게 고객들의 프라이빗 키를 보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레이스케일, SEC에 ZEN·XLM·ZEC 신탁 ETF 전환 등록 신청
세계 최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이 5일 공식 채널을 통해 자체 운용 신탁 상품인 그레이스케일 호라이즌(ZEN) 트러스트, 그레이스케일 스텔라 루멘(XLM) 트러스트, 그레이스케일 지캐시(ZEC) 트러스트의 ETF 전환 정식 등록을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Form 10’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레이스케일은 “이번 신청은 ‘SEC 보고 기업'(SEC Reporting Company)으로서 그레이스케일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함이며, 궁극적으로 해당 상품들의 ETF 전환이 목표”라며 “새로운 Form 10 서류 제출은 자발적으로 진행됐으며, 신청서가 통과되면 그레이스케일의 해당 제품들은 SEC에 정식 등록된다. 현재 그레이스케일은 BTC, ETH, BCH 등 6개 신탁 제품을 SEC에 등록, 보고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MM 파이낸스, 프론트 엔드 공격 노출…200만 달러 이상 CRO 도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크로노스(CRO)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MM 파이낸스(MMF)가 최근 프론트 엔드 공격에 노출돼 200만 달러 이상의 CRO 토큰을 도난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DNS 취약점을 노린 이번 공격에서 해커는 빼돌린 자금을 토네이도캐시로 전송해 추적을 따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MM 파이낸스 측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공격자에게 48시간 내 도난 자금의 90%를 반환할 것을 요청했으며, 기한 내 반환이 되지 않는다면 FBI에 사건을 접수하겠다고 공표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CRO는 현재 1.19% 오른 0.307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네트워크, 반감기 사이클 ‘중간 지점’ 도달
비트코인 데이터 플랫폼 비티씨닷컴에 따르면, 5일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높이가 735,000에 도달하며 반감기 사이클 ‘중간 지점’에 도달했다.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앞선 반감기 시점과 다음 반감기 시점의 중간 지점을 넘어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53% 오른 39,545.6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닷컴, 자체 토큰 VERSE 프라이빗 세일 완료…3,360만 달러 조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오데일리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겸 월렛 운영사 비트코인닷컴이 최근 자체 토큰 VERSE의 프라이빗 세일을 마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닷컴은 3,360만 달러를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VERSE 프라이빗 세일에는 디지털 스트래터지스, 쿠코인 벤처스, 블록체인닷컴, 비아BTC 캐피탈, 레드우드 시티 벤처스, 로저 버, 우지한,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3월 비트코인닷컴이 자체 토큰 VERSE를 출시한다고 전한 바 있다.
바이낸스,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에 5억 달러 투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발표한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관련 문건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인수를 위해 5억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서에 따르면, 오라클 CEO가 신탁 펀드 Lawrence J. Ellison Revocable Trust를 통해 10억 달러를, 세콰이어캐피탈이 8억 달러를 투자했다.
미 상원의원, 피델리티 퇴직금 BTC 투자 비난
미국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 티나 스미스(Tina Smith)가 5일(현지시간)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의 CEO 아비가일 존슨(Abigail Johnson)에게 서신을 통해 “암호화 자산은 리스크있고 투기 성격이 강한 도박”이라며 “수백만 명의 미국인의 퇴직금을 가지고 이런 리스크를 지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오는 5월 18일까지 관련 상세 정보와 대책을 요구했다. 앞서 피델리티는 지난 4월 고용주가 허용할 시 퇴직금 일부를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오페라 크립토 브라우저, BNB체인 지원
웹브라우저 오페라(Opera)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오페라 크립토 브라우저 내 BNB 체인을 지원한다”며 “유저들은 법정화폐로 BNB 토큰을 구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월렛을 통해 토큰을 주고 받을 수 있다. 팬케이크스왑이나 1인치 등 BNB 체인의 Dapp에도 접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상하이 고등 법원 “비트코인은 재산, 재산권 보호 받아야” 판례 배포
상하이 고등 인민법원이 비트코인은 재산 속성의 자산으로 재산권의 보호를 받는다고 인정했다. 법원은 5일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비트코인은 재산의 속성을 갖는가?’라는 제목의 판례 참고 문건을 게재, 이같이 밝혔다. 법원은 민사 소송 판례를 인용해 “비트코인은 가상 자산으로, 재산의 속성을 갖는다. 재산법권의 조정을 받는다. 법적 판단에 따라 비트코인을 반환하거나 지급하게 될 경우 집행법원은 물물 교부 청구권 규정으로 처리해야하며, 피집행자에게 집행가능한 비트코인이 없을 경우 양측이 합의해 양측이 인정하는 가격으로 보상하고,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집행부에서 별도로 제소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지난해 8월 상하이 민항지방법원은 비트코인을 중국법의 보호를 받는 가상재산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조사 “영국 소비자 3명 중 1명, 암호화폐 투자 의향”
코인베이스와 쿼트릭스가 공동 진행한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영국 소비자의 33%가 암호화폐를 투자한 적이 있거나, 현재 암호화페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중 64%는 향후 투자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는 2021년 10월 응답자 비중이 29%였던 것 과 비교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영국 소비자 가장 많이 보유한 암호화폐는 BTC가 75%, ETH가 52%를 나타냈다. DOGE와 BNB바 각가 34%, 33%로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코인베이스 측은 “영국은 암호화폐 자산 보유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유럽 내 암호화폐 투자 중심지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대해 이해도가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美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 첫 NFT 담보 대출 진행..330만 달러 상당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가 첫 NFT 담보 대출 거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익명의 이용자는 크립토펑크 좀비 NFT 2개를 담보로 1200 ETH를 대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 330만 달러 상당이다. 60일 만기 대출로, 연이율은 21%다. 또한 넥소는 NFT 담보 대출 리스크를 헷징하기 위해 자산 운용사 메타 포 캐피탈과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자, USDT 지원 가상 카드 ‘뱅크오프’ 동결..러시아 이용자 차단 목적
비자와 스트라이프가 러시아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온라인 은행 플랫폼 뱅크오프의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을 중단했다. 향후 뱅크오프의 신용카드는 온오프라인 결제가 모두 불가능해지며, 미국 계좌의 자금 역시 동결된다. 미디어에 따르면 러시아 이용자들은 주요 결제 서비스가 차단된 뒤, 뱅크오프의 가상 카드를 통해 해외 결제를 이용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당 가상카드는 USDT를 통한 애플페이, 구글페이, 삼성페이 등 지원해왔다.
타임지, NFT·메타버스 상표 출원
미국 변리사 마이크 콘두디스(Mike Kondoudis)에 따르면 타임지 출판사 ‘Time USA LLC’가 ‘타임 스퀘어(TIME SQUARE)’ 상표를 출원했다. 상표 용도는 NFT, 가상 공연 및 이벤트, 가상 의류 및 장난감 등이 포함됐다.
테더 CTO “테더사 상장 계획 없다…USDT는 모두의 도구”
파울로 아르도이노 테더 CTO가 크립토포테이토와의 인터뷰에서 “테더사는 상장할 계획이 없으며, 그 사실이 자랑스럽다”면서 “테더는 분기별 이익을 추구하는게 아닌, 모든 사람들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심지어 DeFi, 은행, 기관을 목표로 삼을 계획도 없다. 터키,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브라질, 인도, 심지어 두바이에도 USDT가 필요한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유동성과 안정성이다. 테더는 USDT 마케팅에 한푼도 쓰지 않았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청산 문제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리도, 커브 제치고 TVL 최대 디파이 프로토콜 자리매김
디파이라마 데이터에 따르면 리도 파이낸스가 커브를 제치고 TVL 규모가 가장 큰 디파이 프로토콜에 이름을 올렸다. 두 디파이 프로토콜의 TVL은 각각 195.2억달러, 193억 달러다. 3위는 앵커 프로토콜(172억 달러), 4위는 메이커다오(135억 달러), 5위는 아베(118억 달러)다.
코빗, 첫 TV 광고 송출 예정..마동석 등 기용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이 본격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마케팅에 돌입한다고 전자신문이 보도했다. 코빗은 최근 자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배우 마동석, 주현영을 광고 모델로 기용한 광고 영상을 선공개했다. 이달 중 2차 광고 영상을 선보면서 이와 함께 TV 광고 송출도 온에어 할 예정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코빗은 TV 광고에 앞서 서울 도심 일대 버스 정류장이나 버스 랩핑 광고 등을 통해 새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병행하겠다는 계획이다.
렛저X CEO “달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 만든다”
하드웨어 월렛 제조사 렛저X의 CEO 폴 초우가 달 그리고 화성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암호화폐를 개발한다고 포브스가 전했다. 그는 이를 위해 자신이 보유한 거래소 FTX 지분을 매각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골드만삭스 비트코인 담보 대출 서비스 첫 고객은 코인베이스
골드만삭스에서 출시한 비트코인 담보 대출 서비스의 첫번째 고객이 코인베이스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골드만삭스는 비트코인 담보 대출을 위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와 제휴했고, 코인베이스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비공개 금액의 현금을 대출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5월 9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09 |
---|---|
[신문] 2022년 5월 8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08 |
[신문] 2022년 5월 6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07 |
[신문] 2022년 5월 5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05 |
[신문] 2022년 5월 4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