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일
가상자산 뉴스
미국 연준 부의장 “타국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미국에 잠재적 위협”
미국 연준의 레이얼 브레이너드(Lael Brainard) 부의장이 최근 “다른 국가 중앙은행이 발행한 CBDC가 미국 CBDC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잠재적으로 위험하다”고 전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브레이너드 부의장은 최근 스테이블코인 관련 “스테이블코인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금융 안정성 촉진을 위한 CBDC의 역할을 고려해야 하는데, CBDC가 디지털 금융 시스템 속 달러의 지위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CBDC의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이것은 가치 저장 수단이자 결제 수단으로 매력적으로 사용될 것이다”고 전했다.
EU 집행위원 “유럽은 암호화폐에 개방적…중국과 다르다”
일바 요한슨 유럽연합(EU) 집행위원이 “사기 방지만 지켜진다면, 유럽은 암호화폐에 개방적인 입장일 것이다”고 전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요한슨은 최근 뮌헨에서 진행된 시큐리티 컨퍼런스에 참석해 “암호화폐가 불편한 것은 아니지만, 범죄자와 테러리스트들이 디지털 화폐가 제공하는 익명성을 악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적절한 방식의 규제는 필요하다. 그러나 암호화폐를 금지한 중국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스웨덴 규제 당국이 PoW 블록체인 채굴 금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유럽에서 암호화폐가 금지되지는 않을 것이다”고 전했다.
미국 나스카 자동차 경주대회, 한정판 ‘데이토나 500’ NFT 출시
미국 나스카(NASCAR) 자동차 경주대회가 공식 채널을 통해 올해 데이토나 500 경주대회를 위한 한정판 NFT를 출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나스카 측은 “데이토나 500 NFT 시리즈 출시는 왁스(WAXP) 블록체인 팀과의 파트너십의 일환이다. 데이토나 500 티켓을 가진 왁스 블록체인 지갑 사용자는 월렛 당 하나의 NFT를 구매할 수 있다. 또 NFT 구매자 중 추첨을 통해 5 명에게 나스카 드라이버 헬멧 중 하나를 선물할 것이다”고 전했다.
JP모건 “미 연준, 향후 9회 금리 인상 가능”
JP모건의 글로벌경제조사부장 브루스 카스만(Bruce Kasman)이 보고서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향후 9차례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미 연준이 향후 9회의 회의에서 매번 25BP씩 금리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년 초 정책 금리는 중립적인 수준까지 근접할 것이다”라고 진단했다.
잭 도시 “비트코인, 비판 극복하지 못하면 실패한다”
잭 도시 트위터 CEO가 실시간 음성 대화 서비스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비트코인을 향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비판을 극복하지 못하면, 성공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비트코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고, 비트코인을 비판하는 사람들을 교육하고, 비판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암호화폐의 인기는 높아졌지만, 거듭된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일각에서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이유로 가치 저장 수단의 역할에 의구심을 보내고, 누군가는 비트코인의 에너지 소비를 지적한다. 특히 비트코인이 투자자를 함정에 빠뜨리기 위한 폰지 사기라고 묘사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잭 도시는 또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직면한 장애물로 특정 기업 또는 투자자의 과도한 시장 진입을 꼽았다. 그는 “기업이나 특정 VC가 이 새로운 공간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면, 우리는 완전히 실패한 것이다. 사람들이 실제로 소유하지 않는 중앙 집중식 모델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내 마음속의 유일한 성공은 사람들이 진심으로 비트코인을 바라보고, 소유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전세계에서 매일 거래하기 위해 사용하는 돈과 화폐가 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외신 “SEC-리플 소송 비공개 문건 공개..리플에 유리”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와 리플이 진행 중인 법정 다툼에서 비공개되었던 문건의 내용이 리플 측에 유리하다고 코인게이프가 전했다. 문건에는 리플이 10년 전 미국 로펌 퍼킨스 코이로부터 XRP의 발행과 관련해 받은 법률 조언이 담겼다. 문건을 보면 2012년 2월 퍼킨스 코이는 리플 측에 XRP가 증권으로 분류될 수 있으니 토큰을 판매하지 말라고 조언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10월 두번째 메모는 다시 XRP가 연방법에 따라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는 조언이 담겼다. 두번째 메모는 “SEC가 반대할 수 있는 작은 위험은 있지만, 증권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며 “XRP는 상품 거래법에 따라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품 선물 거래 위원회의 규제 대상이 된다”고 언급했다. 또한 두번째 메모에는 SEC와의 충돌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조치들도 담겼다. 제임스 필란(James K. Filan) 리플 측 변호인은 이에 대해 “이같은 내용이 리플이 법적 문제를 다루며 얼마나 조심하게 노력했는지를 보여 준다. 리플이 무모했다거나, 상당한 위험을 무시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리플 법률 고문 스튜어트 알더로티 역시 성명을 통해 “문서는 리플이 2012년에 받은 ‘강력한’ 법적 분석을 보여주고 있다”며 “XRP는 증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마이애미 시장 “마이애미코인 현금화 자금, 주택 임대 지원 프로그램에 투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프란시스 수아레스(Francis Suarez) 미국 마이애미 시장이 최근 마이애미 코인을 현금화한 525만 달러 규모 자금의 사용처에 대한 질문에 “현재 마이애미는 중위소득과 주택 가격 상승이 어긋난 주택 위기에 처해져있다”며 “약 500만 달러를 임대 지원 프로그램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일 프랜시스 수아레즈 시장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마이애미 시티코인 채굴을 통해 얻은 수익금 중 약 525만 달러 상당의 마이애미코인을 현금화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탈리아, 암호화폐 기업 AML 규정 발표…당국 등록 및 보고 의무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탈리아 정부가 최근 관보를 통해 암호화폐 취급 기업의 자금세탁방지(AML) 규정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1월 최종 승인된 해당 규정은 가상자산취급사업자(VASP)의 규제당국 등록 및 보고 의무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의 AML 규정, FATF의 지침 등에 부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씨, 스마트 컨트랙트 업그레이드 완료…25일까지 마이그레이션 완료해야
이더리움 기반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Opensea)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업그레이드를 완료했으며, 새로운 컨트랙트가 배포됐다”고 19일 밝혔다. 이와 관련 오픈씨는 “NFT 판매자는 미국 동부표준시 기준 25일 14시(한국시간 26일 4시)까지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해야 한다. 해당 기간 마이그레이션은 가스 비용이 면제된다”고 덧붙였다.
일론 머스크 “美 산타모니카 테슬라 전용 충전소, DOGE 결제 지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산타모니카에 생긴 테슬라 전용 충전소에는 할리우드 지역을 겨냥한 미래지향적 식당, 자동차 전용 식당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물론 DOGE 결제도 지원된다”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DOGE는 현재 0.50% 오른 0.140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갤럭시디지털 “지난해 임직원 수 200% 이상 증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암호화폐 억만장자 마이크 노보그라츠가 이끄는 암호화폐 전문 금융 솔루션 제공 업체 겸 투자업체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Holdings)이 지난해 임직원 수가 200% 이상 증가한 285 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갤럭시 디지털 최고인사책임자(CHO) 젠 리(Jen Lee)는 “285 명은 지난해 인수한 비트고의 직원 수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라며 “갤럭시 디지털은 올해 45 명의 직원을 추가 고용했다. 새로운 직원들은 대부분 골드만삭스 등 미국 전통 금융권에서 이직해 온 사람들이다. 갤럭시는 올해 30 명 이상의 애널리스트를 추가 영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탈릭 “캐나다 트럭 시위, 불법이지만 정부 대응도 과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18일(현지 시간) 이더리움 해커톤 행사 이더덴버 (ETHDenver)에서 코인데스크TV와의 인터뷰를 통해 “오타와 도심을 무단으로 봉쇄 중인 ‘트럭 시위’는 불법이며, 이 같은 위법 행위를 막기 위한 법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시위대가 도로를 점거하고 있고, 이 같은 행위가 캐나다 경제를 망치고 있다면 이는 명백한 불법이다. 다만, 캐나다 정부가 비상사태법을 발동해 기존 절차를 따르지 않고 무단으로 시위대의 은행 계좌를 동결 시킨다거나, 시위대가 자신을 변호할 기회조차 주지 않는다면 이는 과도한 대응이고 위험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탈중앙화 시스템은 ‘무법지대’가 아니라 ‘법치주의로의 회귀’다. 캐나다 정부는 암호화폐 거래 중개인에 강제적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늘 그랬던 것처럼 합법적으로 범법자를 추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캐나다 경찰은 시위 참여 트럭 운전사 후원 관련 34개 암호화폐 월렛과 은행 계좌를 동결시킨 바 있다.
존 커티스 미 하원의원, 의원 중 최초로 ‘솔라나 페이’ 결제 테스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SNS 플랫폼 트위터에 존 커티스 미국 하원의원이 ‘솔라나(SOL) 페이’를 통한 결제를 시도하는 영상이 게재됐다. 이는 미국 의원 중 최초의 암호화폐 결제 테스트 사례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솔라나 블록체인 개발자 행사 ‘mtnDAO’가 마침 유타주에서 개최됐고, 지역구 의원인 커티스가 해당 이벤트에 참여해 솔라나 페이를 테스트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1일 솔라나가 자체 개발 암호화폐 결제 프로토콜 솔라나 페이를 출시했다고 전한 바 있다.
바이든 “푸틴, 우크라공격 결심했다 판단…믿을만한 근거 있어”
연합뉴스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우려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침공을 결심했다는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연설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 지대를 둘러싼 병력 증강을 이어가고 있다”며 “수일내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할 것이라고 믿을만한 충분한 이유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 결심을 했다고 믿을만한 근거가 있다”며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푸틴이 (실제로 침공을) 할 때까지는 외교는 언제나 가능성이 있다”라고 했다. 그는 “러시아는 여전히 외교를 선택할 수 있다”라며 “긴장을 완화하고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기에 너무 늦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
페이팔·벤모, 200달러 미만 암호화폐 거래에 금액별 정액 수수료 부과 예정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페이팔 및 산하 모바일 결제 서비스 벤모가 오는 3월 21일(현지시간)부터 200달러 미만의 암호화폐 거래에 금액별 정액 수수료를 부과한다. 현재 결제 시스템은 25달러 이상 거래는 일정 비율(25~100달러 2.3%, 100.01~200달러 2%)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25달러 미만 거래는 최소 50센트의 고정 수수료가 부과된다. 페이팔은 오는 3월 21일부로 이러한 수수료 시스템을 변경, 200달러 미만 암호화폐 거래에 49센트~2.49달러 사이의 수수료를 단계적으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기업 측은 “이러한 변화가 고객에게 투명성, 이해의 용이성 및 명확성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美 와이오밍주 의원, 주 발행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 발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다수의 미국 와이오밍주 의원이 주 재무부가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된다면 주 재무부는 US 달러에 페깅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를 주정부 계좌를 통해 법정화폐로 바꿀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 미국 디지털자산 전문 은행 아반티 파이낸셜(Avanti Financial)의 케이틀린 롱(Caitlin Long) CEO는 “해당 법안은 장단점이 있지만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한 논의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뉴욕 법원, 테라 개발사 대표에 SEC 소환장 이행 명령
뉴욕 법원이 테라 개발사 권도형 대표에게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발부한 소환장에 따를 것을 명령했다고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작년 SEC는 권도형 대표에게 소환장을 발부했다. SEC는 테라의 합성 주식 프로토콜 미러 프로토콜의 합법성 여부를 조사 중이다. 이에 테라폼랩스가 “SEC는 이를 강요할 관할권이 없다”며 소환에 응하지 않았고, SEC는 뉴욕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가상자산 >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2년 2월 23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23 |
---|---|
[신문] 2022년 2월 22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22 |
[신문] 2022년 2월 20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20 |
[신문] 2022년 2월 19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19 |
[신문] 2022년 2월 18일, 코인(가상자산) 뉴스 모아보기 (0) | 2022.02.18 |
댓글